|
온플법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소상공인 업계의 숙원으로 플랫폼 입점 업체 보호와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 남용 억제를 골자로 한다. 한 후보자가 대표로 재직했던 네이버를 비롯한 국내 플랫폼 기업들이 사정권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한 후보자는 과거 공개석상에서 “페이스북이나 구글과 1대 1로 경쟁해 이길 수 없다. 규제를 같은 기준으로 실행했으면 한다”며 국내 플랫폼에 대한 규제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다만 소상공인 주무부처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만큼 상황을 달리 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후보자는 전날 첫 출근 소감에 대해 “청문회 준비를 하느라 정신없다”며 “부처 전체적인 업무보고를 받았고 조직 구성에 대해 들었다”고 전했다.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과제로는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꼽았다. 세부 실행 계획을 묻는 질문에 한 후보자는 “구체적인 방안을 말씀드릴 단계는 아직 아니다. 현황 파악이 우선”라면서도 “디지털 전환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당면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의 범위가 과거 PC, 모바일에서 인공지능(AI)으로 나아가고 있고 업종별로도 (접근방식이) 다를 수 있다”며 “현장 얘기부터 먼저 들어보겠다”고 말했다.
과거 네이버에서 추진했던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과는 접근방식이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 후보자는 네이버 대표 시절 소상공인과 창작자 지원사업 ‘프로젝트 꽃’을 추진하며 결제수수료 인하, 판매대금 선지급 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한 후보자는 “(프로젝트 꽃과 비교하면) 큰 전제는 비슷할 수 있겠지만 그건 네이버였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부분”이라면서 “네이버에 맞는 방식이 있고 (정부 부처가 하는) 사업의 형태도 다양하다. 상황을 먼저 보겠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협회와 만남 또는 현장 방문 계획에 대해서는 “청문 절차가 남아 있어 섣부르게 말씀드릴 상황은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