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의협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선고된 지난 4일 긴급 상임이사회를 열고 의료 정상화를 조속하게 이루기 위한 투쟁 로드맵을 논의했다. 그 결과 13일 오후 전국대표자 회의를 소집하고 20일에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가칭)를 통해 조속한 의료환경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정부가 빠르게 해 줄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투쟁일정과 내용은 대의원회, 16개 시도의사회와 논의하여 확정될 예정이다. 김택우 현 의협 집행부가 장외 투쟁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자 Pick
이들은 차기 정부에서 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의료개혁을 전면 재논의하는 틀 마련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의협 관계자는 “윤 대통령 파면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정책 결정권자이기 때문에 정책 결정 불확실성이 사라졌다”면서 “의협이 배제돼 논의된 개혁을 전면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의협과 함께 논의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정부 관계자들이 갑자기 그동안 해 온 일들을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지는 않으리라고 본다”며 “앞으로 2개월간의 대선 국면이 중요하다. 정치권이 가장 약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두 달간의 시간을 막연하게 흘려보내기보다 의료계가 가장 목소리를 크게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을 어떻게 봉합할지는 의료계 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일부 강경파는 투쟁 일변도로 의료개혁 전면 무효화를 외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필수의료패키지 정책 중 일부를 차기 정부가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의협이 단일안을 내기 쉽지 않은 이유다. 의료계 관계자는 “벌써 차기 정부와 논의하는 테이블에 누가 앉을지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라며 “의료계 내에서도 각자의 위치에 따라 입장이 확연히 다른 만큼 단일안을 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