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티는 “한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로 예상치(1.9%)를 상회했다”면서 “최근의 에너지 가격하락과 소비수요 둔화에도 불구 정부의 가격 통제 기능 약화와 생산자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에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씨티는 미국의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성장률 1%도 달성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물가 리스크가 예상보다 더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정치적 상황과 미국 관세까지 맞물려 성장 하방 리스크가 더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해 한은이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블룸버그는 “5월 기준금리 25bp 인하 전망을 유지하나 서울 주택가격 상승 등의 요인을 고려하면 통화 완화 정책이 3분기로 지연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한은은 물가가 2%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유가 변동, 국내수요 둔화, 미국 관세 정책과 한국 정치의 불확실성이 추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 결과와 상관없이 정치적 혼란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한국의 수출아 둔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AP는 “이미 수개월간 수백만명의 시민들이 탄핵 지지-반대 시위를 벌이는 등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당분간 사회적 갈등과 정치적 혼란이 불가피하다”면서 “한국이 정치적 혼란으로 최근 미국의 관세 위협과 북한-러시아의 군사 협력 등 대외 불확실성에 적절히 대응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로이터는 ”3월 한국의 수출 규모는 582억 4000만달러로 전년대비 3.1%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성장했으나 시장 예상치인 3.5%는 하회했다“면서 “한국의 수출은 증가세 유지에도 불구하고 4월부터 둔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