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수해 피해 전통시장 대신 골목상권 먼저 찾은 한성숙 중기부 장관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영환 기자I 2025.07.25 06:00:00

한 장관, 취임 첫 일정은 골목형 상점가·장보기
전국 8개 전통시장 412개 점포 피해 대신
대전 지역 상점가 및 전통시장 먼저 찾아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 기조와 거리감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한성숙 신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취임 직후 첫 현장 일정으로 대전의 골목형 상점가와 전통시장을 찾았다. 그는 취임사에서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강조했지만 정작 수해 피해가 컸던 충남 당진 전통시장 대신 대전 전통시장 방문으로 임기를 시작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한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취임식을 마친 뒤 오후 4시 대전 유성구 은구비서로의 골목형상점가를, 이어 오후 5시 30분에는 대전 동구 중앙시장 활성화 구역을 방문했다.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한 자리라는 설명이다.

중기부 장관은 국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정책을 펼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은 자리다. 특히 580만명에 달하는 소상공인은 우리 경제의 실핏줄과도 같은 존재여서 여느 중기부 장관이고 취임 직후 소상공인을 가장 먼저 찾았다.

한 장관의 골목형 상점가와 전통시장 방문도 이 같은 배경이지만 이번엔 다소 특수성이 있었다. 바로 폭우피해다.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이어진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 8개 지역 412개 점포의 전통시장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는 충남 당진 전통시장이 170여곳, 경남 합천 삼가시장이 70여곳에서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당진은 장관의 집무실이 있는 세종시와 면해 있는 충남 소재 지역이다. 전국 전통시장 중 가장 크게 피해를 봤지만 특별재난지역에 포함된 합천과 다르게 당진은 특별재난지역에서 빠져 지역 사회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상태다. 여전히 폭우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다방면의 지원이 집중되고 있다.

물론 특별재난지역은 지자체장과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몫이다. 특별재난지역의 선포는 대통령이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피해를 입은 전통시장을 중앙행정기관의 수장이 외면한 점은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다. 피해를 입은 전통시장 상인들의 애로를 가장 빠르게 접할 수 있어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세금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생계비 및 주택복구비 지원 등 주민 지원이 가능해진다. 중기부 장관이라면 얼마든 힘을 보탤 수 있다.

한 장관이 후보자로 운신의 폭이 넓지 않던 당시 노용석 중기부 차관이 17일 당진 전통시장, 20일 합천 삼가시장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봤다. 중기부는 △전기·가스 등 안전점검 및 복구 지원 △원스톱 지원센터 운영 △금융지원 등 피해 전통시장을 위해 다양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진행 중이다.

한 장관은 앞서 같은 날 오전 취임사에서 가장 첫 번째 정책 추진 방향으로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을 꼽았다. 그는 “특히 대형 재난에 대한 피해복구 체계 마련, 고용보험 지원, 화재공제 강화 등에 집중하겠다”라고 공언했다.

전통시장 피해 복구 정책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한 장관에게 수해 피해 전통시장은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이라는 본인 제 1의 정책 기조를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현장이지 않았을까 싶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