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열리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후보로 나선 박찬대 의원은 이데일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전대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그는 “국민이 만든 이재명 정부가 집권 초기부터 어떤 정치적 성과를 내는지, 국민께 어떤 효능감을 주는지, 국민의 삶이 어떻게 바뀌는지, 세세하고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강력하게 보여줘야 한다”며 “야당일 땐 강한 투사가 돋보이지만 여당은 강하면서도 통합적인, 안정적인 대표가 있어야 국민도 국정 운영에 안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박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과의 오랜 호흡을 강조했다. 그는 2021년부터 수석대변인, 비서실장, 최고위원, 원내대표로 이 대통령과 호흡을 맞추면서 이 대통령의 대선 준비를 도왔다. 특히 지난 1년 동안 원내대표로 맡으면서 계엄과 탄핵, 대선정국에서 대선 승리를 진두지휘했다. 박 후보는 이 같은 경험을 “강한 개인보다, 강한 말보다, 강한 원팀의 강한 실천력으로서 성과를 낸 부분들이 저만의 리더십을 보여준 사례”라며 “당 대표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누구보다 안정적으로 당정대를 원팀으로 만들어서 내란을 종식하고 민생을 회복하고 경제를 성장시키고 국민을 통합해내는 과제를 잘 완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부한다”고 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박 후보는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지낸 정청래 의원과 당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박 후보는 정 후보를 “뛰어난 개인기와 역량을 가지고 있는 스타 플레이어”라고 치켜세우면서도 “저는 전체 팀의 승리를 이끌기 위해서 작전을 짜고 사람을 임명하는 감독의 역할을 했고 팀 승리를 이끌어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당원과 의원, 대통령까지 똘똘 뭉쳐서 이재명 정부의 성공과 개혁 완수를 이뤄내야할 때다. 내가 적임자”라고 자부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시험대인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도 박 후보는 자신의 중도 확장성을 강조했다. 그는 “통합·안정을 이끌 수 있는 사람만이 수도권과 영남에서 지방선거 견인이 가능하다”며 “2026년 지방선거 승리를 시작으로 이재명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의 초석을 다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와 함께 “당 대표로 선출된다면 제일 먼저 지방선거기획단을 발족할 예정”이라며 “당원이 참여하는 공천시스템을 구축하여 인재를 발탁하겠다”고 했다.
박 후보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내란 사범 처벌 강화를 위한 내란종식특별법을 공약했다. 그는 “계엄 해제·탄핵 표결에 불참했던 야당은 내란의 강을 건너야 한다”며 “통합과 평화, 협치는 정의의 결과여야 한다. 민주당은 언제든 문을 열어두고 (야당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지만 불의한 타협이나 야합에는 단호히 거부할 것”이라고 했다.
“개혁은 임기 초에 시행해야…연말까지 3대 개혁 성과”
검찰·사법·언론개혁은 박 후보의 또 다른 공약이다. 특히 수사·기소권의 완전 분리 등 검찰 개혁안은 8~9월 입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무리하게 속도를 내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박 후보는 “김영삼 대통령의 하나회 해체, 금융실명제 추진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개혁은 임기 초반에 시행해야 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검찰개혁과 사법개혁, 언론개혁은 사회적으로 논의된 지 이미 오래됐다. 이번 대선을 통해 큰 테두리의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며 “세밀한 부분은 남은 기간 동안 국회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당히 유의미한 입법 성과를 올해 말까지 낼 예정”이라고 했다.
공인회계사 출신인 박 후보는 민주당 내 대표적인 실물경제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당 대표로서 당연히 개혁과 민생,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라고 자신했다. 박 후보는 “이재명 정부는 AI(인공지능), 반도체, K-문화 등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을 약속했다”며 “민주당 대표는 다수여당으로서 예산과 입법 지원으로 이재명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을 추진하는 데 막힘이 없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공언했다.
야당 원내대표 시절 추진했던 예산안 자동부의제(11월까지 국회가 예산 심의를 마치지 못하면 정부 원안대로 예산안을 국회 본회의에 자동부의하는 제도) 폐지와 정부의 예산 증액 동의권 제한에 관해선 “국민이 낸 세금을 국민을 위해 국민의 뜻에 따라 쓰는 것이 헌법의 민주공화국 기본 원리다”며 “국회의 예산 편성·통제권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