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EU에 8월 1일부터 3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는 현재 시행 중인 기본관세 10%나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당시 EU의 상호 관세율 20%보다 높다.
EU의 1차 대미 보복 관세는 총 210억 유로 상당의 주요 미국산 수입품에 10% 또는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대응이다. 2차 대미 보복 관세 조치는 미국 기본관세 10%, 자동차 25%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720억 유로(약 115조 8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이는 지난 5월부터 준비 중으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완벽하게 준비되도록 대응책을 계속 마련할 것”이라면서도 “지금은 협상을 위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EU 내에서는 영국처럼 협상에 속도를 내야 할지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협상을 지속해야 할지 의견이 분분하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장관은 이날 독일 매체 쥐트도이체차이퉁(SZ)과 인터뷰에서 “EU는 미국과 진지하고 표적화된 협상을 지속할 것”이라면서 “공정한 협상을 통한 해결책에 도달할 수 없다면 유럽의 일자리와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또한 지난 12일 EU에 “유럽의 이익을 결연히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친(親)트럼프’ 성향의 극우 정당 ‘동맹(Lega)’ 소속인 마테오 살비니 이탈리아 부총리 겸 인프라교통부 장관은 EU가 미국과의 협상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트럼프는 이탈리아를 공격할 이유가 없음에도 독일이 유럽을 이끄는 바람에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비난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같은 날 독일 공영방송 ARD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무역 해법을 찾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합리적인”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희망을 표했다. 그는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 폰데어라이엔 위원장, 마크롱 대통령과 통화를 통해 오는 8월 1일 전까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로 합의했다면서 “협상은 이미 상당히 진전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독일에 실제로 30% 관세를 부과한다면 “독일 수출 산업을 타격하는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경제 정책의 상당 부분을 미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