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출 탕감에 금융권 돈 쓰겠다는 정부…예정처 "협조 안되면 정부 재정 부담"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수빈 기자I 2025.06.28 11:00:00

국회 예산정책처, 제2회 추경 분석 보고서
정부, 장기연체채권 정리에 8000억원 소요 계산
이중 4000억원은 금융권 출연 받을 계획
금융회사 채권 소각에 다시 금융회사 돈 드는 구조
"채권 매입가율 하향 조정하면 금융사 기여금 안든다"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정부가 저소득층의 장기 연체 대출금을 탕감하기 위해 금융권으로부터 4000억원 이상의 출연을 요구할 계획인 가운데, 적정 규모의 재원 확보가 이뤄지지 못하면 정부의 재정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채권매입가율을 하향 조정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16일 서울의 한 골목상권.(사진=연합뉴스)
27일 국회 예산정책처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취약계층의 경제적 고통 경감 및 재기 지원을 위한 채무조정 사업에 4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신규 편성했다.

정부는 저소득층의 7년 이상 연체된 채권 중 5000만원 이하의 개인 무담보채권을 조정하거나 소각할 계획이다. 매입 대상 채권액은 약 16조 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연체채권에 5%의 매입가율을 반영해 총 8000억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중 4000억원은 이번 추경을 통해 조달하고, 남은 금액은 금융권의 ‘도움’, 즉 출자를 받을 계획이다.

이에 대해 예정처는 “금융회사가 보유한 채권을 소각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의 일부를 다시 금융회사로부터 징수하는 구조”라며 “금융회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적정 규모의 재원 확보가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부 재정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예정처는 “재원 확보가 이뤄지지 못하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채권 발행을 통해 재원을 조달해야 하며, 향후 캠코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재정 출자가 필요해질 수 있다”고 봤다. 이어 “재원부족으로 인해 목표한 채권매입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정부 재정의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해결책으로는 채권 매입가율을 계획한 5%에서 2.5%로 하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예정처는 “매입가율을 2.5%로 하향 조정해 사업구조를 개편하더라도 정책목표 달성 측면에서는 동일하다”며 “이 경우 금융회사 기여금 없이 정부 출자금만으로 목표한 규모의 채권매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예정처는 “금융위원회와 캠코는 정부 출자만으로 채권매입이 가능한 방향으로 사업구조 개편을 검토하거나, 정부 출자분 외 재원 조달 방안을 조속히 확정하여 국회 추경안 심사 과정에 제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