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 3월 서울 동대문구 제기4구역 해체공사장에서 붕괴사고가 발생해 작업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서울시는 시 차원에서 해체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대책으로 민관합동 상시점검을 꺼내들었다.
이번 점검은 해체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공사 착공 전부터 공사중 각 단계별 중요점검 사항을 지속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전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부실시공과 부실감리 등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진행된다.
점검대상은 서울시와 자치구에 허가·신고된 해체공사장 약 900개소다. 서울시와 자치구 공무원, 민간전문가가 함께 공사장을 합동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다룹터 자치구, 민간전문가와 함께 상시점검단을 구성해 매주 1회 이상 현장점검을 실시, 선제적으로 위험요인을 조치할 예정이다.
특히 서울시는 해체공사장 안전관리와 해체공사감리 취약 요소에 대해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이와 함께 기존 민간공사장 안전점검도 병행 추진해 점검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점검 대상은 △해체감리원 현장 상주 여부 △가시설 설치의 적정성 △중장비 작업 준수 시공 여부 △장비기사 자격 적정여부 △잔재물 과적치 및 반출 적정성 여부 등이다.
서울시는 이번 상시점검으로 적발된 사업장에 대해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할 방침이다. 중대한 위반사항이 적발될 경우 즉시 공사를 중단하고 시정명령 및 관계 법령에 따른 강력한 행정 처분을 강행토록 한다. 경미한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현장 시정 및 지속적 관리에 나선다.
특히 부실 해체공사 감리자에 대해서는 서울시 해체감리지정을 제외하고 징계 조치를 강화해 위반사항 재발 방지와 해체공사 안전성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이번 상시점검을 통해 해체공사장 단계별 중요점검 사항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것”이라며 “공사 관계자 안전의식을 높이고 공사장 안전문화 조성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