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계도 초긴장 상태로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 직접적으로는 신흥 시장으로 낙점한 중동 수출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간접적으로는 타이어, 플라스틱 내장재 등 자동차 부품 가격이 올라 차량 생산 비용이 뛴다. 해상운송에 따른 ‘전쟁보험료’ 인상으로 물류비도 오른다. 무엇보다 유가 상승으로 차량 구매를 미루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소비심리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즉, 총체적인 위기 상황이다.
|
우선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워라밸’ 향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법정 근로시간(40시간)을 단축하지 않고 주중 근무를 늘리는 식으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선 주 4.5일제가 도입되면 “지금처럼 금요일까지 주 5일 일한 뒤 ‘추가근무’인 오후를 휴일 수당으로 받는 일이 횡행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정년 연장도 산업 현장의 목소리와 아귀가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 단순히 현 직원의 정년을 늘려 고용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보다, 임금 체계 개편과 고용 유연성을 확대해 기업들이 고령자의 계속 고용을 추진하는 방향이 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동 위기에 앞서 우리 완성차 산업에 불어닥친 미국발 관세 위기는 아직 해결의 기미가 없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에 따르면 5월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5억16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7.1%, 전월 대비 12.9% 감소했다. 올해 1~5월 누적으로도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157억95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6% 감소했다. 실제 지난 4월 미국 정부의 수입차 25% 관세 부과 이후 우리 대미 자동차 수출 위기는 이미 현실화한 것이다.
그러나 특정 노조의 비현실적인 요구안은 기업의 존립 바탕은 물론 국가 수출경제까지 위협하고 있다. 기업은 근로자와 이해관계자(협력사 등), 그리고 고객이라는 세 가지 축을 딛고 바로 선다. 전대미문의 대내외 경제위기 상황에서, 특정 집단의 이기적인 행태로 균형이 붕괴되고, 기업과 나아가 국가 경제까지 타격을 받으면 결국 그 근로자 자신도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