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출생아 10개월째 '플러스'…주형환 "올해 합계출산율 0.80명 기대"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권효중 기자I 2025.06.26 05:20:00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 더 강하게 추진해야"
4월 출생아 8.7%↑, 혼인도 동반 증가세 계속
"경기 부진, 집값 대응, 모멘텀 강화" 강조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지난 4월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 8.7% 늘어난 2만 717명을 기록하며 10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이와 같은 긍정적 흐름이 이어진다면 합계출산율 0.80명을 달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주 부위원장은 25일 대전, 세종, 인천 등 6개 지자체의 결혼 만남 프로그램 담당 공무원들을 만나 “지난해 발표한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을 더 강도 높게, 더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출생과 혼인의 동반 증가세가 나타나는 만큼,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출생아 수 반등세를 굳혀야 한다는 의미다.

이날 통계청의 ‘2025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출생아 수는 2만 71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1658명)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1~4월 누적 출생아 수는 8만 57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늘었다.

최근 30대 초반 인구(2차 에코붐 세대, 1991~1995년생)는 코로나19 이후 결혼 출산에 뛰어들며 출생아 수 반등을 이끄는 주역이 됐다. 실제로 지난 4월 혼인 건수 역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9% 늘어난 1만 8921건이었는데, 통계 작성 이래 최장 기간인 13개월째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출생아 수와 더불어 선행 지표인 혼인까지 늘어나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주 부위원장 역시 “혼인도 13개월 연속, 월간 1만 9000여건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올해 합계출산율 0.80명 달성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0.80명을 넘어 2030년 ‘합계출산율 1.0명’ 회복을 위해서는 보다 큰 정책적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부위원장은 “경기 부진, 부동산 가격 상승 등 맞바람도 커 모멘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수도권 집중 완화 등 구조적 과제에도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