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지난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5대 그룹 총수를 모아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
업계에서는 가장 먼저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의 연장을 바라고 있다. 이 혜택은 신차 구매에 적용되는 개소세 탄력세율(5%→3.5%) 인하, 노후자동차 교체 개소세 70% 감면으로 차량 가격 인하 효과를 낼 수 있다.
개소세 감면에 따른 시장 활성화 효과는 이미 증명됐다. 2023년 하반기 종료됐다가 올 초 일시적으로 적용된 개소세 인하 덕에 1~4월 자동차 내수 판매는 53만8921대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올 들어 차량 판매가 늘어난 것은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과 신차 효과가 맞물렸기 때문인데, 만약 이런 지원책이 종료되면 내수는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기업과 노동조합 간의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지난해 높은 실적을 기준으로 성과급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정책으로 자동차와 부품에 부과되는 25%의 관세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기업들은 당장 허리띠를 졸라 매야하기 때문이다.
|
완성차 산업의 ‘큰 형님’인 현대자동차그룹이 현 정부와의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는 만큼 업계의 요구안이 현실화될 수 있단 기대감이 크다. 정 회장은 이 대통령의 경기도지사 시절부터 스킨십을 이어왔다.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로 2021년 5월 경기 화성시 현대차·기아 남양기술연구소를 방문했을 당시엔 두 사람만 수소전기트럭에 올라 1시간가량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이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 발표한 자동차 정책에 미래 모빌리티 육성이라는 구체적 목표가 담긴 것도 이런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필수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에도 자동차 관세를 올릴 수 있다는 식으로 발언을 한 만큼 정부는 하루 빨리 협상을 통해 세율을 줄이는 방향으로 대응해야 하며 내수 지원책도 이어가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