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코인3법 하원 통과… 韓 국정기획위 내부 이견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강민구 기자I 2025.07.20 11:47:12

美 ‘코인 3법’ 통과로 글로벌 규제 정비 본격화
국정기획위 경제1분과 결론 못내고 기획분과로 넘겨
한국은 외환·통화 우려...단계적 접근 가능성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최근 미국 하원이 ‘지니어스법(GENIUS Act)’, ‘클래리티법(CLARITY Act)’, ‘CBDC 감시국가방지법’ 등 이른바 ‘코인 3법’을 통과시키며, 미국 주도의 가상자산 규제 정비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법으로 △1:1 달러 연동 의무 △준비금 월별 공개 △금고 자산 분리 △이중 라이선스 체계 도입 등을 포함한다. 클래리티법은 SEC와 CFTC 간의 관할권을 명확히 해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를 정의한다. CBDC 감시국가방지법은 의회의 승인 없이 연방준비제도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발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다.

한국 정부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환율 방어 가능성을 둘러싼 의견 차이로 진전이 더딘 상황이다.

국내 추진중인 가상자산 법안[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 제동…외환 방어 우려에 속도 조절

한국은 지난해 7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1단계)’을 시행했지만, 발행·유통·공시 등 가상자산 시장 전반을 다룰 2단계 법안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현재 국회에 1건이 발의돼 있으며, 1건은 다음 달 발의를 앞두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지난달 스테이블코인 인가제를 포함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대표 발의했다. 민주당 강준현 의원을 중심으로 여당 정무위 의원들도 별도 법안을 다음 달 초 발의할 예정이다. 안도걸 의원실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입법을 준비 중이며, 23일 관련 토론회가 예정돼 있다.

정부 측 논의는 국정기획위원회 내 기획분과로 이관돼 진행 중이다. 당초 경제1분과에서 논의하던 스테이블코인 이슈는 위원 간 이견으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핵심 쟁점은 민간이 발행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외환·통화 정책에 미치는 영향이다. 당국은 원화 기반 코인이 통화량 조절을 어렵게 하고, 해외 스테이블코인과의 환전을 통해 중앙 통제를 우회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기획분과는 9월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회의에서 외환 방어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며 “샌드박스를 통해 제한적 실험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전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업계는 미국이 주도하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국제 결제 수단으로 확산될 경우 한국의 외환 시스템과 결제 인프라에도 제도적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국제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디지털 금융 전문가는 “자본 통제와 외환 규제를 유지 중인 한국은 스테이블코인 기반 글로벌 질서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핵심 과제”라며 “이분법적 규제에서 벗어나 디지털 시대에 맞는 통화·외환 정책 구조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