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 한미는 관세 협상을 위한 경제·통상 ‘2+2 장관급 회담’을 25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회담 하루 전 돌연 불발되면서 시장 불안감을 키웠다.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의 특성상 협상 결과는 증시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실제 협상 불발이 알려진 지난 24일엔 대미 수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업종인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의 주가가 일제히 떨어졌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3200에서 코스피가 추가 상승 모멘텀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실적 증가가 필수적”이라며 “수출 경기에 민감한 우리 기업들의 이익 구조상, 이번 통상 협상 결과가 중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8월 1일 미국과의 상호 관세 발효 전후, 긍정적인 무역 협상 결과가 나온다면 우리 증시도 역사적 신고가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정부가 곧 발표할 세법 개정안도 증시에 악영향을 줄 요인으로 꼽힌다. 투자자들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가능성에 주목하며 기대감을 키웠으나, 개정될 세법 초안에 △증권거래세율 인상 △대주주 양도세 기준 강화 △법인세 인상 등도 포함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분위기가 바뀌는 모양새다. 이사의 주주에 대한 책임을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완료한 데 이어, 주주 가치를 제고하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까지 추진하던 정부의 ‘증시 부양 드라이브’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정책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주가의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이라며 “법인세 인상은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나, 세법 개정안에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포함될 시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반기에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기존의 주주 친화적인 정책이 의회를 통과하는 것이 확인될 시, 외국인 수급의 추가 유입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리 동결 여부도 주요 변수 중 하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29~30일 진행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 혹은 인하 여부를 결정한다.
시장에선 이번에도 금리를 동결할 것을 유력하게 점치는 만큼, 증시의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여기에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비농업 부문의 고용지표도 줄줄이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