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오름테라퓨틱(475830)이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유방암 치료제 ‘ORM-5029’의 임상1상 자진 철회 이후 혈액암 치료제 ‘ORM-1153’을 새로운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선정하면서다.
이승주 오름테라퓨틱 대표는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에서 팜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임상 철회의 이유는 복합적인 경우이며, 항체가 정상세포로 가서 생기는 부작용도 많고, 링커가 덜렁덜렁해서 떨어져서 생기는 문제도 있을 수 있고 다양하게 복합적으로 원인이 많다”고 밝혔다.
현재 약 1500억원 수준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오름테라퓨틱은 기술 이전(License-in)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유방암 치료제 ‘ORM-5029’ 임상1상 자진 철회 배경은
이승주 대표는 ORM-5029 임상 철회 결정에 대해 경제성과 리스크 대비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경제성, 리스크 베네핏 등 장단점을 저울질 했을 때 투자금을 어떻게 제일 유용하게 쓰는 게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건가를 고민을 한 결과”라고 밝혔다.
특히 경쟁 상황을 중요한 고려 요소로 언급했다. 그는 “우리 회사가 초반에 했던 신약 후보도 한 번 중단한 적이 있다”며 “2019년 정도. 그때 한 3년 동안 했던 과제인데 경쟁사에 비해서 약효가 조금 떨어지고 진도도 안 나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접었다”며 과거 경험을 설명했다. 이어 “최고가 되거나, 최초가 되거나를 해야 되는데 한국 회사는 그 둘 다가 안 된다고 판단이 되면 적절한 시점에 중단하는 것이 나은 것 같다”고 강조했다.
|
그는 임상 철회가 DAC 플랫폼 자체의 문제가 아님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는 “혹자는 유방암 과제를 중단하면서 다른 것도 문제가 있는 거 아닌지 걱정을 하는데 미국 크리니컬 트라이얼즈 사이트에서 BMS 기술이전 임상이 정상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그것만 봐도 이게 플랫폼 문제가 아니고 물질의 고유한 이슈이구나 하고 이해를 할수 있을 거다”라며 플랫폼 기술의 건전성을 재차 강조했다.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혈액암 치료제 ‘ORM-1153’ 선정한 이유는
이 대표는 ORM-1153을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굉장히 난치성 혈액암에 잘 듣게 설계를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 치료제로는 치료하기 어려운 특정 돌연변이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의 말이다. 이 대표는 “이 단백질 분해제들은 치료하기 어려운 특정 돌연변이가 있는 혈액암 환자도 치료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혈액암과 고형암 파이프라인을 병행 개발하는 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전략적으로 혈액암하고 고형암을 적절하게 섞어서 개발하려 한다”며 “고형암이 임상에서 실패할 가능성도 좀 있는 질환이지만 혈액암은 임상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좀 작은 질환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오름테라퓨틱은 현재 BMS와 버텍스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을 통해 총 1500억 원 규모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DAC 신규 페이로드 개발을 진행하고 우수한 파이프라인이 포착되면 기술이전도 할 예정이다.
그는 “지금 은행에 1500억 정도 현금이 있다 있다. 그게 다 비상장 시절에 번 돈”이라며 “앞으로 새로운 단백질 TPD를 계속 지켜보며 라이선스인(기술 이전)도 검토할 예정”이라며 향후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