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무회의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신속하게 추진하라”고 지시하는 등 PK에 대한 강한 애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에 여권과 관련 부처 등은 일사불란하게 이 대통령의 강한 의중을 충실히 받들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산 출신의 한 여권 관계자는 “실질적인 해양 행정 기능을 완전히 복원해서 기능과 역할을 강화한 형태로 해수부 부산 이전이 이뤄져야 하며, 특히 산자부의 조선 기능을 반드시 가져와야 한다”며 해수부+α까지 챙기겠다는 속내를 숨기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현재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핵심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경남 사천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까지 발의됐다. 정권 교체와 함께 수도권의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기다려온 충청권 지역민들에게는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반면 충청권을 지역구로 둔 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여·야 국회의원들은 대부분 ‘모르쇠’로 일관, 지역의 입장을 대변하기보다는 대통령실과 소속 정당의 눈치보기에 여념이 없다.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대통령실과 소속 정당의 거수기로 전락한 것은 차기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과 함께 대통령실과 코드를 맞춰야 장관 등 내각에 들어갈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다.
|
지역 정치권이 침묵하는 동안 충청권 4개 시·도가 연대해 한 목소리를 냈다는 점에서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지만 과거 이완구 전 충남지사가 2009년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 추진에 반발, 도지사직을 전격 사퇴한 것과 비교하면 투쟁력이 한참 떨어진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대전에 있던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행에 대해 침묵한 허태정 전 대전시장이 민주당 공천은 받았지만 지방선거에서 낙선한 사례를 현 단체장들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민주주의는 투쟁의 역사이다. 선출직 공무원들은 막강한 권력과 투쟁을 통해서라도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주민들의 입장을 대변해야 한다. 이것이 그들이 존재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