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하와이회담 종료..中 "하나의 중국 변함없다..美간섭말라"

신정은 기자I 2020.06.18 15:30:28

미-중, 대만·홍콩·신장 위구르 등 문제 논의
양제츠 "미중 협력만이 유일한 올바른 선택"
"홍콩 국보법 제정 변함없어…G7 성명 반대"
비건 대북 특별대표 참석…한반도 문제도 논의된듯

지난 2018년 11월 미국 워싱턴D.C에서 만난 마이크 폼페이오(왼쪽 앞에서 두번째)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오른쪽줄 앞에서 세번째)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 사진=AFP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코로나19 확산 이후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고위급 회담을 열고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중국 측은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과 관련해 미국 측의 개입을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18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양제츠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 겸 공산당 중앙외사위원회 판공실 주임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6~17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히컴 공군기지에서 1박2일간의 일정으로 비공개 회담을 마쳤다.

통신은 “양측이 중미관계와 공동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각자의 입장을 충분히 설명했고, 이번 회담은 건설적인 대화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양측은 양국 정상이 달성한 공동 인식을 성실히 실현하고, 행동을 취하기로 했다”며 “양측은 앞으로도 지속해서 접촉과 소통을 이어나간다는 데 동의했다”고도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웹사이트에 자오리젠 대변인의 문답 형식으로 회담 내용을 공개했다. 회담 전체 내용을 다 공개하진 않았지만, 최근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홍콩 문제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오 대변인은 “양 위원은 대화에서 중미 관계발전에 대한 중국 측의 기본태도와 대만, 홍콩 간섭, 신장(위구르) 간섭 등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에 있어 입장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양 위원은 “협력만이 중미 양측의 유일한 올바른 선택”이라며 “중국 측은 미국 측과 함께 노력하며 충돌하지 않고 대립하지 않는 발전, 상호 존중, 협력해 함께 이익을 얻는 관계를 위해 애쓰겠다. 동시에 주권 안전 발전의 이익을 결연히 수호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대만 문제에 있어서는 “하나의 중국”이란 원칙을 분명히 했다. 자오 대변인은 양 위원이 회담에서 “대만은 중국의 뗄 수 없는 일부분”이라면서 “중국은 미국 측에 ‘하나의 중국’ 원칙과 상하이 공동성명(미합중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동성명)을 확실히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대만 문제에 대한 신중하고 적절한 대처를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1972년 상하이 공동성명에서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했었다.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과 관련해서도 중국은 ‘내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자오 대변인은 “중국 측은 홍콩 국보법을 제정한다는 결정에 확고히 변함없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중국 측은 미국이 홍콩 사무에 대해 간여하는 언행을 단호히 반대하고, G7(주요 7개국) 외교장관이 홍콩 문제에 성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 단호히 반대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측은 미국 측이 중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홍콩 국보법을 바라보며 어떤 형식으로든 홍콩 내부 사무에 관여하는 것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양 위원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에 있어 중국 정부가 민족의 생명권 등을 보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자오 대변인은 “중국 측은 미국이 ‘위구르 인권법안’에 서명한 데 대해 강력한 불만을 표시했다”며 “반(反)테러 문제에 있어 이중잣대를 멈추고, 신장 문제를 이용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담이 열리고 있는 17일(현지시간) 중국의 이슬람 소수민족 인권 탄압에 책임이 있는 중국 당국자를 제재할 수 있도록 한 ‘2020년 위구르 인권정책 법’에 서명했다.

한편 이번 회담에는 스티븐 비건 대북 특별대표도 함께 참석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16일 양 의원과 저녁 식사를 함께 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지막 날 오전 회의에서는 중국 측이 밝힌 홍콩 문제 뿐 아니라 미중 무역 협상, 한반도 평화 문제 등도 논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