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비대면 포럼 성행하는데···방송만 하면 끝일까

by강민구 기자
2020.09.01 17:51:20

151회 대덕과학포럼 개최···비대면 플랫폼 주제로 열려
코로나19에도 광화문에 모인 것은 의견표출 욕구 때문
전국민 비대면 설문 가능해져···스마트워크도 본격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코로나19로 사람이 모이는 근무나 교육, 행사 등이 어려워지면서, 대안으로 유튜브나 줌 등을 이용한 비대면 소통이 빠르게 일상화되고 있다. 정부의 뉴딜 정책 안에 ‘비대면 플랫폼’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면서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반면 대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밀도 높은 소통이 아쉽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과총(회장 박윤원)은 ‘비대면 플랫폼 활용과 고찰’을 주제로 지난 달 27일 케이시크 스튜디오에서 ‘151회 대덕과학포럼’을 개최했다. 소수 패널이 현장에, 110여명이 비대면 플랫폼인 ‘땡기지’를 통해 포럼에 온라인 참여했다.

대전과총은 ‘151회 대덕과학포럼’을 개최했다.<사진=대전과총 유튜브 영상>
이날 발표에 나선 김영렬 케이시크 대표는 대학원생 시절인 1995년 세계최초 한글 검색엔진 ‘코시크(Koseek)‘를 개발했고, 이후 케이시크를 창업해 전국 학교 홈페이지 구축과 방송기술 개발 등을 펼치다 2010년 모바일 앱 땡기지를 출시했다.

땡기지는 화상 방송과 댓글, 퀴즈, 설문, 추첨 등이 동시에 이뤄지는 양방향 비대면 소통 플랫폼으로 최대 100만명이 참여할 수 있다.

앱은 현재 ’KBS 퀴즈온코리아‘, ’EBS 장학퀴즈·보니하니’, ‘JTBC 시대공감세대공감’ 등 3000회 방송과 교육부 자유학기제 토크콘서트, 대전시 타운홀미팅 ‘경청’ 등 1000개 행사에 쓰였다.

케이시크는 최근 코로나19로 행사 개최에 어려움을 겪던 지역 커뮤니티 ‘벽돌한장 과학마을이야기’, ‘대덕과학포럼’, 대학교 비대면 수업 등에 방송 스튜디오와 플랫폼을 지원해 왔다.



김 대표는 “우리는 상식 수준에 산다고 생각하지만, 퀴즈와 설문에 의하면 그런 생각이 착각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며 “사람들의 집단지성이 어느 수준이고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를 고민하며 개발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포럼 발제 후 땡기지를 통해 5개 퀴즈와 설문을 냈다. 그 가운데 ‘정치적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 전화가 온다면?’이란 설문에 비대면 참가자들은 ‘45.8% 비율로 거절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정치적 여론조사를 신뢰하기에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도 ‘38.8%가 낮은 응답률’을 선택했다.

김 대표는 “이렇게 여론조사를 불신하면서도 코로나 감염을 무릅쓰고 수십만의 대규모 인원이 광화문에 모인 것은 의견 표출 욕구 때문”이라며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면 전 국민이 동시 참여하는 비대면 앙케이트 쇼도 펼칠 수 있다”고 말했다.

패널로 참석한 최종인 한밭대학교 산학부총장은 “코로나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데, 온라인 소통기술이 좋은 조교수의 강의 만족도가 정교수보다 더 높다”며 “영상으로 미리 학습하고 온라인 토론을 나누는 혼합형 학습을 준비하고 있는데 땡기지와 같은 플랫폼이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우 모닝엔터컴 대표는 “코로나19로 MICE 산업에서도 행사를 모두 비대면으로 전환하고 유료 컨퍼런스의 제한적 오픈, 다양한 채널 동원 등 비대면에 맞는 형식으로 탈바꿈 중”이며 “댓글 수준 이상의 의견수렴 개발을 위해 땡기지를 이용한 자체 방송도 시작했다”고 말했다.

정호영 삼진정밀 대표는 “예전에는 구축해 놓은 원격 시스템을 잘 활용하지도 않았고, 온라인 소통에 대해 의심이 있었지만 모든 전시회가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원격 시스템도 활발하게 도입되기 시작했다”며 “온라인 활동이 비대면의 기능을 넘어 스마트 워크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