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ICT 산업·융합활성화에 1조9천억원 투자"

by오희나 기자
2015.09.01 15:17:01

정보통신 산업 진흥 및 융합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 마련
9대 산업·10대 ICT융합·ICT 인프라 조성·산업 체질개선 및 글로벌 진출 강화 '집중투자'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정부가 내년 정보통신 산업 육성과 융합 활성화에 1조90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내년 범정부 차원의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 정책방향의 주요과제를 담은 ‘2016년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실행계획(이하 실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변화하는 기술 및 시장상황에 대응해 각 부처가 제출한 계획을 종합하고, 지난 3월 마련된 중장기 정보통신 산업 발전정책인 ‘K-ICT전략’을 대폭 반영해 정책의 시의성과 실현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정부는 국내외 경제의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고 융합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① 5세대 이동통신,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 등 9대 전략산업의 육성과 ② 의료, 교통, 문화·관광 등 10대 분야 ICT융합의 본격적인 확산에 집중하는 한편, ③ ICT 성장 인프라를 조성하고 ④ 산업 체질개선과 글로벌 진출에도 주력하는 4대 전략에 총 1조9346억원 투자를 확정했다.

우선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SW), 디지털콘텐츠 등 9대 전략 신(新)수종 산업에 5957억원을 투자하고 정책역량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각 산업의 성장단계, 투자규모 등을 고려해 품목별로 기술개발, 초기시장 창출 등 차별화된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적극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 시연을 위해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지역에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시범구축 하고, 올 하반기 구축 예정인 부산, 대구의 사물인터넷(IoT) 실증단지를 활용해 중소기업이 사물인터넷 제품을 시험·검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수요예보를 실시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업계 현장에서의 SW제값주기를 위해 상용 SW유지관리요율을 올해 12%에서 2017년 15%내로 상향을 추진하고,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산정가이드라인’에 대한 민·관 합동 모니터링도 실시된다.

미디어기업과 정보통신기술 기업이 집중돼 있는 상암동 일대를 대학, 기업, 연구소 등의 협업을 위한 ‘(가칭)실감콘텐츠 클러스터’로 구축하고, 유망콘텐츠 투자를 위한 디지털콘텐츠 펀드(2016년 750억원)를 추가 조성한다. 또한 초고화질방송(UHD)산업 발전을 위해 방송방식을 결정하고, 민·관 공동의 UHD펀드도 확대한다.

의료, 금융, 교통, 도시, 스마트홈 등 10대 융합 분야에서 5751억원을 투자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의 프로젝트를 추진해 민간 차원의 수요를 유도한다. 융합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술개발-보급-확산을 연계해 추진력을 제고함으로써 민간이 자생적 융합 생태계를 창출하도록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건강검진결과와 연계한 디지털 건강관리 서비스를 본격 시행하며,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핀테크 테스트베드’가 조성된다. 또한 초·중등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위해 ‘SW교육 선도학교’를 대폭 확대하고,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개발과 시범도로, 실증지구 등을 구축하는 자율주행차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도시 및 스마트홈과 관련된 민간 주도의 융합 서비스를 발굴하며, 정보통신기술 체험 서비스를 활용해 스마트관광을 활성화한다. 또한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시설원예·과수 스마트 팜, 축산 스마트팜도 확산된다.

정보통신기술 성장 인프라 조성에는 863억원을 투자한다. 정보통신기술 성장을 위한 인프라 마련을 위해 초연결 네트워크를 구축해 적극 활용토록 하고, 정보통신기술 지역혁신 거점(판교, 인천, 부산 등)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한다. 또한 공공 부문에서 수요자 중심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장애인·저소득층 등의 정보접근성을 보다 향상시킬 예정이다.

기가(Giga) 인터넷 커버리지를 현재 45%에서 2016년 70%로 확대하고, 글로벌 표준(HTML5)에 기반한 인터넷환경 조성 및 엑티브엑스(ActiveX) 대신하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그리고 지역별 SW융합 클러스터(’16년 신규 2개, 총 7개)와 19개 지역진흥기관 등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 할 계획이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행정서비스가 확대되며, 고령층·장애인 등 정보소외 계층에 대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개발·보급하고, 시·청각 장애인에 대한 방송수신기 보급도 추진된다. 산업 체질 개선 및 글로벌 진출 강화를 위한 투자도 6775억원 집행된다.

창의적인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 국가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ICT R&D) 혁신 역량을 확충하는 한편, 국내기업의 창업 및 해외진출을 다각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신규 SW마이스터고 개교 및 SW중심대학 운영 등을 통해 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벤처1세대 멘토링 지원사업을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로 확대한다. 또한, 유망한 정보통신기술분야 중소기업 300개를 ‘케이글로벌 스타트업(K-Global Startup) 300’으로 선정해 자금, 멘토링, 해외진출 등을 집중 지원한다. 그리고 중소기업이 정부출연연구소의 역량을 활용해 연구개발을 혁신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기술바우처’ 제도가 최초로 신설된다.

미래부는 범부처 정보통신기술(ICT)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통해 향후 추진실적을 지속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이번 실행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부처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행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창조경제의 핵심성과를 가시화하고, 새로운 융합신장 창출을 통해 역동적인 경제혁신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