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F 2021]신진영 "ESG 평가, 한국형 특수성 고려한 기준 필요"

by권효중 기자
2021.06.23 16:03:35

마스터 클래스 1 '한국형 ESG와 선진국 사례'
"유럽 등 선진국은 ESG 평가 기준, 활용 등 적극적"
KCGS, 글로벌 표준과 한국 특성 반영한 '한국형 모델' 마련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 되길"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가 단순히 잘하는 기업을 칭찬하고, 못하는 기업을 꾸짖기 위해서가 아니라 ‘어떻게 더 잘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도록 돕는 역할로 이해되기를 바랍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원장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자본주의 대전환: ESG노믹스’를 주제로 진행된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마스터 클래스에서 ‘한국형 ESG와 선진국 사례’에 대한 발표를 맡아 이같이 말했다. 신 원장은 글로벌 선진국들 사이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등이 제도적으로 안착한 만큼 국내에서도 실질적인 평가 기준 마련과 움직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원장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 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착한기억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 ‘한국형 ESG와 선진국 사례’라는 주제의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영훈 기자)
가장 먼저 신 원장은 유럽 등 선진국에서의 ESG 평가 기준 사례를 소개했다. 현재 유럽은 기후변화, 탄소 배출 등의 의제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관련 ESG 정보 공개, 평가 기준 등이 선제적으로 마련됐으며, 미국 역시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신 원장은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ESG가 기업과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빠른 정보 공유를 위해 당연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다”며 “실제로 최근 2년 간 ESG 관련 규제는 이전보다 4배 이상 늘어나면서 그 변화의 속도 역시 빠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의 어떤 활동이 ESG로 분류될 수 있는지 세세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렇게 명확한 규정들은 곧 투자자들의 신뢰로 이어진다”며 “그만큼 ESG 투자는 단순한 주식 투자에서만 활용되는 개념이 아니라 국책은행과 녹색채권(그린본드)에서 대체자산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거래소(KRX)가 중심이 돼 ESG 관련 공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거래소는 기업 규모에 따라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 지속가능성 경영 보고서 등에 대한 공시 의무를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신 원장은 “현재는 코스피 상장 대기업 중심이지만, 2030년까지는 전 기업으로 확대되는 것이 목표”라며 “이 과정에서 계량화가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등 정량 지표 외에도 정량화가 어려운 비재무적 정보들에 대한 내용을 담은 권고지표를 보완하고, 구체화해 새 기준을 제시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 원장은 현재 KCGS가 준비 중인 ‘한국형 ESG 지침서’와 ‘KCGS 모범규준’ 등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선진국들의 글로벌 표준 등을 반영하되 한국의 상황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며 기업들의 실질적인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KCGS의 목표다.

그는 “KCGS 모범규준은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에 ESG가 미치는 중요도를 명시하고, ESG 경영에 필요한 전사적인 리더십 등을 강조하고 있다”며 “기업이 실질적인 경영에서 이를 활용하고, 중요도를 느낄 수 있도록 제정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자금 조달에 대한 중요성, 인권과 안전, 소비자 보호 등 사회책임경영을 강조하고 한국 기업집단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기업집단 소속의 이사회 책임소재를 명시하는 등 국내 기업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중”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신 원장은 “현재 KCGS는 단순히 글로벌 평가 기준을 따라가는 것 이상으로 매년 국내 시장과 기업들의 환경을 반영하고 전문가들뿐만이 아니라 기업들과의 소통 등 활발한 의견 수렴을 거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매년 평가가 끝나면 기업들에도 보고서를 전달해주는데, 이는 기업을 단순히 평가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닌 추후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되기를 바라는 의미”라며 “더 잘해나갈 수 있는, 하나의 지원책으로서 여겨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