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물에 잠겨간다…해수면 30년간 9.1cm 상승

by임애신 기자
2021.12.20 11:00:00

韓 해수면 1991~2020년 평균 9.1cm 높아져
상승 속도, 2010년대 들어 10% 이상 가팔라

[세종=이데일리 임애신 기자] 최근 30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평균 9.1cm 상승했다. 2010년부터 상승 속도가 10% 이상 증가하며 해수면의 상승 속도가 점점 가팔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지구온난화가 심화했다는 의미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1991~2020년 관측 자료가 축적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3.03mm씩 높아져 평균 9.1cm가량 상승했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30년 평균 해수면 상승률 (자료=해수부)
국립해양조사원이 발표한 해수면 장기 변동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다. 해수면이 상승했다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대륙 위에 있는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의 열 팽창으로 인해 바닷물의 부피가 커져 해수면이 점차 상승했다는 의미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연 3.71mm)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서해안(연 3.07mm), 남해안(연 2.61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6.17mm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포항, 보령, 인천, 속초 순이었다.

최근 30년간의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은 △1991~2000년 연 3.80mm △2001~2010년 연 0.13mm △2011~2020년 연 4.27mm로 1990년대 대비 최근 10년에 약 10% 이상 상승 속도가 빨랐다.

지난 8월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산하 실무그룹은 1971년부터 2006년까지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연 1.9mm씩, 2006년부터 2018년까지는 연 3.7mm씩 상승했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결과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은 1971~2006년에 연 2.2mm로 전 지구 평균보다 소폭 빨랐으나, 2006~2018년에는 연 3.6mm로 전 지구 평균과 유사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태성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을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며 “해수면 자료 분석과 더불어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해수면 변동 전망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