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 '성수동 레미콘 공장', 대체 부지 찾기에 '끙끙'

by박민 기자
2020.07.19 18:08:20

이르면 10월 市도계위서
공장→공원으로 용도 변경
삼표, 대체 부지 확보에 난항
서울 전체 레미콘 생산량도
절반 이하로 '뚝'..공급 차질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있는 삼표그룹의 레미콘 공장 전경.(사진=삼표 제공)
[이데일리 박민 기자] 삼표그룹의 서울 성수동 레미콘 공장 부지가 이르면 10월 도시공원으로 바뀔 전망이다. 서울시가 추진한 ‘서울숲 조성·확대’ 사업에 따른 것이다. 문제는 삼표가 성수동을 떠나 새 보금자리를 찾는데 난항을 겪으면서 향후 서울 도심 건설현장 내 레미콘 물량 확보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서울시와 성동구에 따르면 서울시는 성동구 성수동 일대 2만 7828㎡ 규모의 삼표 레미콘 공장 용지를 도시계획시설상 ‘도시공원’으로 바꾸는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이를 위한 마지막 관문인 서울시의회 의견청취와 시 도시계획위원회(도계위) 심의 등의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8월과 9월에 예정된 서울시의회 임시회에서 의견 청취를 거친 뒤 이르면 10월 도계위에서 안건(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을 상정할 예정”이라며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연내 도시공원으로 결정 고시되고, 고시 즉시 공원으로서의 효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고시 이후 해당 부지에 산책로와 휴양시설, 녹지 등의 면적과 구역 등의 내용을 담은 공원조성계획을 수립한다. 이후 사업기간과 사업비(토지보상 등) 등의 계획을 짜서 실시계획 인가를 고시하고 공원 조성사업에 돌입한다. 사실상 이때부터 본격적인 레미콘 공장 이전·철거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번 삼표 레미콘 부지 공원화는 현재 미완의 서울숲(43만㎡ 면적)을 총 61만㎡ 규모로 완성하기 위한 ‘마지막 퍼즐’이다. 시는 오는 2022년 6월까지 성수동 공장 이전·철거를 완료하고 2024년까지 공원화를 마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성동구는 지난 2017년 땅 주인인 현대제철, 건물주(지상권자)인 삼표산업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의 4자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삼표 입장에서는 공장 철거 및 이전이 코앞까지 다가왔지만, 아직 대체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서울과 경기 등 무려 80여곳이나 대체 부지를 물색했지만, 해당 지자체에서 레미콘 공장이 들어서는 걸 꺼려 새 보금자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표 관계자는 “서울숲 공원화를 위한 공장 이전 협약은 존중하지만, 아직 대체부지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행정절차에 돌입했다는 것은 공장 문을 닫으라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토로했다.

특히 문제는 서울 도심 내 건설현장에 레미콘 공급의 한 축을 맡아온 성수공장이 폐쇄되면 건설현장에도 공사차질 등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콘크리트를 싣고 운반하는 레미콘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품이 굳는 특성상 공장 출하에서 현장까지 최대 90분 내로 운반·타설해야 한다. 서울에서 수도권 외곽으로 멀어질수록 서울 도심 내 물량을 대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는 총 4개 레미콘 공장이 가동하고 있다. 이들 전체 공장의 시간당 레미콘 생산량은 지난해 기준 총 1992㎥이다. 삼표 성수동 공장(1080㎥)·풍납동 공장(420㎥), 신일씨엠 장지동 공장(720㎥), 천마콘크리트 세곡동 공장(720㎥) 등이다. 삼표 공장이 사라지면 서울 내 레미콘 공장 생산량은 시간당 912㎥로 절반 이하로 ‘대폭’ 낮아진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통상 레미콘 생산량 감소는 아파트 공사 차질과 원자재 가격 인상을 야기한다”며 “서울 재건축·재개발 등의 공사 현장에 콘크리트 적기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건축비 상승은 물론 자칫 분양가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민간기업 힘만으로 대체부지를 찾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공장 이전 대체지 확보에 지자체의 전향적인 협조가 필요해 보인다”며 “다만 레미콘 공장이 기피시설로 꼽히는 만큼 공장 운영을 기존 노출형에서 밀폐형으로 전환하는 등 업계의 자구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