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서울 아파트값 소강상태...4주 연속 둔화

by박민 기자
2020.01.23 09:32:15

매매값 0.06% 상승...전주比 0.03%p 하락
고강도 규제로 매수심리 위축
전세가격 0.03% 올랐지만 ‘오름폭 축소’
“설 이후 시장 안정 전망”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박민 기자] 설 연휴를 앞두고 서울 아파트 시장이 4주 연속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16대책 영향으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 데다 연휴 전 비수기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8년 9.13대책 이후 추석 연휴를 앞두고 아파트 시장이 주춤해진 것과 유사한 흐름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6% 오르며 전주(0.09 %)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지난달 20일 0.23% 상승을 기록한 이후 4주 연속 둔화세다. 이번주 재건축이 지난주 하락(-0.02%)에서 0.02% 상승으로 반등했지만, 일반 아파트는 0.07% 상승에 그쳤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비강남권 중심으로 올랐다. 지역별로는 노원(0.20%), 동대문(0.18%), 도봉(0.17%), 성북(0.14%), 동작(0.13%), 영등포(0.12%), 중구(0.11%) 순으로 올랐다.

노원은 동북선 경전철과 광운대 역세권 개발로 수요가 이어진 월계동 꿈의숲SK뷰를 비롯해 상계동 불암동아, 벽산 등이 500만~2000만원 상승했다. 동대문은 저가매물이 소진된 후 답십리동 답십리래미안위브, 장안동 장안1차현대홈타운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도봉은 창동 상계주공18·19단지와 주공3단지가 5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2018년 9·13대책 발표 시 추석 명절이 지나면서 서울 집값이 본격 하락세였던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설 연휴를 기점으로 시장 위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보유세 부담이 커지면서 설 이후 매도시점을 고민하는 다주택자들이 늘어나는 반면 시장의 움직임을 지켜보자는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거래 부진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기간 기간 수도권 신도시는 0.03%, 경기·인천은 0.02% 올랐다. 신도시는 평촌(0.07%), 산본(0.06%), 분당(0.05%), 광교(0.03%), 중동(0.02%), 동탄(0.02%) 순으로 상승했다.



평촌은 저평가 인식에 소형 위주로 수요가 유입된 평촌동 초원부영, 초원성원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산본은 산본동 매화주공14단지, 가야5단지주공1차 등 소형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분당은 간간이 거래된 구미동 무지개3단지신한, 건영과 야탑동 탑주공8단지가 500만원 올랐다.

경기·인천은 경기 남부권 지역 위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용인(0.06%) △성남(0.05%) △광명(0.04%) △부천(0.04%) △안산(0.03%) △안양(0.03%) 순으로 올랐다. 용인은 신분당선 성복역 등 광역교통 여건이 좋은 성복동 성복역롯데캐슬골드타운, 신봉동 신봉마을LG빌리지5차가 중대형 위주로 1000만원-2000만원 올랐다. 성남은 단대동 진로, 금광동 황송마을이 500만원 올랐다.

전세시장은 명절을 앞두고 문의와 거래가 주춤해졌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3% 오르면서 전주(0.10%) 보다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2%, 0.01% 상승하면서 전주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서울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에 수요가 유입되면서 오름세를 견인했다. 지역별로는 강동(0.14%), 성북(0.08%), 강북(0.07%), 동작(0.07%), 강남(0.05%), 동대문(0.05%), 영등포(0.05%)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평촌(0.10%) △산본(0.08%) △광교(0.03%) △분당(0.01%) △일산(0.01%) △중동(0.01%) 순으로 올랐다. 평촌은 평촌동 초원부영, 호계동 무궁화효성이 500만원-1000만원 상승했다.

여경희 연구원은 “전세시장은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하는 수요가 늘면서 연휴 이후 학군, 직주근접 지역의 이사수요의 움직임이 활발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전세품귀가 심해지면서 반전세를 선택하는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