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환자 '소뇌' 줄어드는 이유는..새로운 유전자 찾아

by강민구 기자
2022.02.15 10:00:00

안지인 성균관대 의대 교수팀, 유전자와 기능 규명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조현병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유전적 원인과 작동 원리를 알아냈다.

안지인 성균관대 의대 교수.(사진=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은 안지인 성균관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조현병 환자에서 소뇌의 크기가 줄어드는 현상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로 Ebp1과 그 기작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조현병은 그동안 대뇌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환자 MRI를 분석한 결과 소뇌의 부피가 크게 줄었다는 보고가 이어졌다. 소뇌 기능이상과 발달성 정신질환이 연관돼 있다는 주장도 계속 나왔지만 병인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Ebp1 돌연변이가 조현병 환자에게서 발견된다는 사실에 착안해 Ebp1 뇌 특이적 결손 마우스를 만들었다. 신경세포에서 Ebp1을 없애면 마우스의 소뇌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소뇌의 중요 신경세포인 퍼킨지 세포 감소부터 시냅스 붕괴, 운동성 저하를 유발했다.



연구팀은 Ebp1을 소뇌, 퍼킨지 세포 발달시기에 다른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 중 하나로 제시했다. 특정 신경세포의 발달시기에 맞춰 특수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해 이 유전자가 소뇌의 정상적 발달에 기여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또 Ebp1 결핍 마우스 자궁 속 배아 소뇌에 Ebp1 야생형과 조현병 환자 유래 돌연변이형을 주입한뒤 태어난 마우스의 조현병 증상과 운동성도 확인했다. Ebp1 야생형은 병적 증상과 운동성이 개선됐지만 돌연변이를 주입한 마우스는 여전히 조현병 증상이 나타났다.

안지인 교수는 “Ebp1의 돌연변이가 조현병과 소뇌 기능 장애에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조현병의 새로운 치료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에 15일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