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분석] 모더나가 주목한 나이벡의 mRNA 백신 핵심 ‘전달 플랫폼’

by김유림 기자
2021.04.09 08:05:54

‘NIPEP-TPP’ mRNA 백신 냉장 보관 가능한 기술
빅파마, 새로운 유전자 약물 전달 물질 찾기 혈안
글로벌 제약사와 약물 전달체 물질이전계약 체결
바이오유럽 학회에서도 다수의 빅파마 먼저 컨텍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나이벡(138610)의 유전자 약물전달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백신의 극저온 보관 해결 및 부작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이벡 진천공장 전경. [사진=나이벡]
전 세계적으로 mRNA 백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인 ‘약물 전달체’ 플랫폼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벌써 글로벌 빅파마들이 점찍은 회사가 있다. 2011년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바이오벤처 나이벡이 그 주인공이다.

mRNA(메신저 RNA) 백신은 우리 몸이 특정 단백질을 만들도록 하는 설계도를 담고 있다. 인체 주입 후 세포 안으로 설계도를 전달(메신저)하면, 가짜 코로나바이러스 단백질을 형성하고 우리 몸은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그 다음에 진짜 코로나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기억을 하고 있던 면역세포가 즉각 공격을 하는 기전이다.

문제는 mRNA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자마자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세포벽을 뚫고 세포 안까지 들어가기가 힘들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mRNA 겉을 얇은 막으로 감싸줘서 세포 안까지 안전하게 들어가게 하는 ‘약물 전달체’가 개발됐다.

모더나와 화이자 mRNA 백신은 ‘지질나노입자(LNP)’를 약물 전달체로 사용한다. 지질 성분의 LNP는 불안정해 극저온 보관이 필수라는 단점이 있다. 화이자 백신 영하 70도, 모더나 백신 영하 20도에서 보관되는 이유도 mRNA가 아닌 LNP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특히 LNP를 더 안정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PEG(폴리에틸렌글리콜) 때문에 심각한 전신 알레르기 증상인 ‘아나필락시스’ 부작용이 있다.

글로벌 주요 제약사들은 LNP보다 더 안정적이고, 상온이나 냉장 보관이 가능한 약물 전달체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된 상태다. 나이벡은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모더나와 존슨앤존슨, 다이치산쿄, 오츠카, 머크 등 수십개의 글로벌 빅파마들과 기술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이들은 나이벡의 약물 전달 플랫폼기술 ‘NIPEP-TPP’에 큰 관심을 보였다.



NIPEP-TPP은 지질이 아닌 펩타이드 성분이다. 4~10도의 냉장 보관이 가능하며, PEG가 안 들어가면서 ‘아나필락시스’ 부작용도 없다. 전임상 결과 LNP만큼 전달 효율이 뛰어나면서 안전성 면에서는 훨씬 유리함을 입증했다. 빅파마들은 아나필락시스가 없다는 점에 가장 큰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글로벌 제약사 중에서 가장 조급한 곳은 모더나다. 모더나의 LNP 기술 권리는 알뷰투스바이오파마(Arbutus Biopharma)에 있다. 지난해 양측은 특허권 소송을 벌였고, 미국 특허심판원(PTAB)이 알뷰투스의 손을 들어줬다. 정확한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모더나는 코로나 백신을 팔 때마다 거액의 런닝 로열티를 지급하고 있다.

바이오업계 임원은 “지금 모더나 CEO의 최대 관심사는 알뷰투스의 LNP를 다른 전달체로 바꾸는 것”이라며 “높은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코로나 백신으로 돈을 많이 못 벌고 있다고 알려졌다. 모더나 주가가 작년에 갑자기 안 좋아졌던 것도 약물 전달체 특허소송에서 패소하면서부터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곳의 기술을 들여올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모더나가 새로운 약물 전달체를 찾게 되면 백신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이벡은 지난 2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2곳이 먼저 연락해오면서 유전자 약물 전달체에 대한 물질이전계약을 맺었다. 계약 상대는 밝히지 않았다. 회사 측에 따르면 해당 제약사들은 백신뿐만 아니라 CAR-T, 유전자 치료 분야에도 나이벡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나이벡 관계자는 “물질이전계약은 빅파마가 직접 물질을 갖고 가서 검증한 다음에 공동연구계약을 하고, 전임상 연구 중에 또는 전임상 연구를 마치고 기술이전 협의가 진행된다”며 “시급할 경우 전임상 안전성 시험 전에도 갖고 가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유럽 최대 규모 바이오행사 바이오유럽 2021(BIO-EUROPE SPRING 2021)’을 통해서도 논의가 이어졌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연락은 계속 오고 있으며, 여러 곳과 계속 협의 중이다”고 덧붙였다.

약물 전달체에 대한 빅파마들의 높은 수요로 인해 플랫폼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이 기대된다는 전망이 나온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물질이전계약은 기술이전 전단계로 추후 긍정적 데이터가 확보된다면 공동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유전자 약물전달기술은 확장성이 높아서 mRNA 분야 다수의 러브콜이 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