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강국 英이 보는 '디지털 금융'의 미래는

by이재운 기자
2019.08.24 08:29:00

영란은행(BOE), 올 6월 '미래 금융' 보고서 발간
디지털 결제, P2P금융, 저탄소-고령화 대응 강조
암호화폐,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신기술도 주목

영란은행(BOE) 청사 전경. 출처: 영란은행 페이스북 페이지
[이데일리 이재운 기자]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금융·핀테크 강국’ 영국을 이끄는 대표기관이다. 자연히 이곳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보고서는 향후 금융과 핀테크의 미래를 바라보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지난 6월 20일 영란은행은 영국 금융시스템의 미래와 그에 맞는 영란은행의 역할을 제시하는 ‘금융의 미래’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보고서는 새로운 경제를 형성하는 동력으로 ‘디지털’을 꼽고, 이를 통해 발현되는 ‘디지털 경제’와 사회적 전환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나라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간한 ‘금융감독 ISSUE JOURNAL【2019-2호】’에 나오는 주요 내용을 아래 소개한다.

보고서는 크게 ①경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②금융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③영란은행에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고찰하고 9개 영역에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금융감독원 제공
세계는 빠르게 변화한다. 기술·인구·환경 요인의 변화에 따라 부상하는 새로운 경제는 △온라인 소비가 확대되고, 플랫폼 경제를 통해 기업과 국내·외소비자와 연결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대량의 데이터가 생성되지만 사생활 보호 및 데이터 오남용 위험을 수반 △Gig(일시적인 고용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과 공유경제의 확산으로 프리랜서·임시직 비중 확대 등을 수반한다. 또 새로운 사업 모델은 기존 사업의 분화(Unbundling)를 촉진하고, 머신러닝(기계학습)과 자동화의 비중이 확대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고령화와 저탄소 친환경 경제의 확산 등으로 금융의 대응 역시 ‘주요한 전환’(Major Transitions)이 진행된다.(여기에 브렉시트와 신흥시장 성장에 따른 영국의 위상 변화 역시 언급하고 있다.) 금융은 더 ‘효율적’이 되어야 하고, 비용절감은 지속적인 도전과제가 된다. 결국 전통적인 규제 모델, 경제 구조, 중앙은행의 역할 등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하기에 이른다.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에 미치는 영향은 단연 ‘디지털화(化)’에 방점이 찍힌다. 혁신적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보다 개인적이고 접근성이 높으며, 즉각적이고 안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금융은 또 청정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자금 지원, 탄소 배출량 공시 등을 통해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할 필요 앞에 놓이게 됐다. 고령화 대응과 변화하는 노동형태에 대한 규제 개선 필요성, 혁신의 금융포용과 이를 통한 취약계층 지원, 국가간 거래 비용 절감과 새로운 시장 접근 등을 통해 기업이 국제적인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진화해야 함을 보고서는 주장한다. 중앙은행의 역할 역시 이런 부분에 맞춘 변화 방안으로 △미래 지급결제 시스템 구축 △표준·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경제 지원 △저탄소 경제로의 원활한 이행 촉진 △진화하는 위험으로부터 금융시스템 보호 △사이버 위험 대비 강화 △디지털 규제 수용 등을 주문하고 있다.

지급결제의 경우 디지털을 통해 금융기관의 중개를 생략한 거래가 이뤄지는 점을 언급하며 디지털 결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인프라를 모두 개선하고, 동시에 현금사용 감소에 따른 부작용 대비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부상한 암호화폐(가상화폐) 등 새로운 수단과 사업모델이 등장하고 있는 만큼, 디지털 결제로의 이행을 더욱 촉진하고 이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통한 변화와 발전에 대한 역할 역시 요구된다. 복잡한 규제를 개선해 핵심 뱅킹 활동이 안전한 클라우드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도입을 촉진하고, 데이터 활용을 통해 더욱 더 고객 친화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AI와 머신러닝을 통한 위험관리·사기대응과 통찰력 확보, 투명성과 책임성의 확대 또한 목표로 제시한다.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평가 개선으로 이어져 개방형 플랫폼 구축으로 발현되는 사례를 강조했다.

녹색금융과 신흥시장 대응 등을 위한 글로벌 금융표준 선도와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제도 변화 역시 언급하는 요소이며, 고령화와 수명 연장 추세 속에서 불확실한 미래소득에 대한 우려를 해소해줄 방안 모색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한다.

기존 은행권을 벗어나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 즉 P2P(개인간 거래)로 대표되는 시장과 오픈뱅킹을 두고도 역동적·즉각적 규제 체계 구축과 책임소재 명확화를 주도하는 등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한다.

혁신기술을 규제.감독에 활용하는 레그테크(RegTech), 수프테크(SupTech) 도입을 통해 금융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는 방안도 역설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관련 법규의 증가는 물론 영란은행이 수집하는 데이터 증가가 더해지는데, 이를 AI와 머신러닝 같은 신기술로 대응하자는 주장이 담겼다.

‘보안’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사이버 위험 대비 강화 또한 중요한 요소다. 사이버 전략 수립과 준비태세 구축부터 사이버 보험, 데이터 복구 구조 마련, 위협 정보 공유 확대 등을 주문한다.

이를 통해 영란은행은 영국이 금융 중심지로서 현재의 위상을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보고서를 마무리한다. 한국을 비롯해 금융허브를 꿈꾸는 모든 국가는 물론 핀테크 혁신을 꾀하는 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