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 홍보한 뉴진스에 악플세례…세계는 '한지' 택했다

by이윤정 기자
2023.01.13 05:30:00

한지 '외발뜨기' 제작방식…단단한 내구성 자랑
종이 한 장에 장인 손길 '백번'
루브르박물관, 한지 활용해 문화재 복원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라고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이에요.”(해린), “얘가 1300살인데 한지인가보다!”(혜인)

아이돌그룹 ‘뉴진스’의 멤버들이 ‘세번째 키워드 1300살’이 어떤 의미인지 유추하는 유튜브 영상의 한 장면. 혜인이 “한지에 인쇄가 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742년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라며 “한지는 그보다 더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하자 한지의 강한 내구성에 놀라는 멤버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뉴진스가 출연한 ‘한지 홍보영상’은 난데없이 중국 네티즌의 표적이 됐다. 일부 악성 누리꾼들은 뉴진스의 SNS로 몰려와 “도둑”, “종이를 처음 만든 나라는 중국”이라는 내용의 ‘악플’을 도배했다. 한 누리꾼은 중국어로 “제지술은 중국에서 발명돼서 세계 각지로 퍼져 나갔다”며 “한지는 완전히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비난을 멈추지 않았다.

안치용 한지장과 함께 한지 제작을 체험 중인 걸그룹 ‘뉴진스’(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외발뜨기’ 제작방식, 내구성 높여

중국 누리꾼들은 ‘종이를 처음 만든 나라는 중국이며, 제지술도 중국의 것’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제지술은 중국 후한시대 105년쯤 채륜이 발견한 것이 그 기원이다. 이후 각국은 제지술 도입해 각자의 방식으로 제지술을 발전시켰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중국의 선지(宣紙), 일본의 화지(和紙), 우리나라의 한지(韓紙)다.



선지와 화지는 세로로 뜨는 ‘쌍발뜨기’(가둠뜨기) 방식으로 만든다. 한쪽 방향으로 잘 찢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 죽순을 이용하는 중국 선지는 먹물을 잘 흡수하고, 적절한 양만큼 고르게 퍼지는 게 장점이다. 일본 화지는 꾸지나무, 산닥나무 등을 이용한다. 종이의 결이 부드럽고 균일한 특성을 보인다.

한지는 선지, 화지와 달리 ‘외발뜨기’(흘림뜨기) 방식이다. 닥 섬유를 가로, 세로로 교차시키는 제작 방식이다. 종이 한 장을 뜨는데 장인의 손길을 무려 아흔 아홉 번을 거쳐야하고, 마지막 손길이 한번 더 보태져야 한지로 완성된다. 한지를 백지(百紙)라고도 부르는 이유다. 이렇게 만들어진 한지는 섬유질이 촘촘해 천년이 지나도 쉽게 변하지 않는 단단한 내구성을 갖는다. 뉴진스가 영상으로 홍보한 한지의 우수성도 여기에 있다. 최태호 충북대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는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는 투명막이 다른 섬유와 겹치면서 접착해주는 풀과 같은 역할을 한다”며 “가운데 섬유는 손상되지 않고 종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존성이 매우 높다”고 한지의 장점을 설명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17호 한지장 홍춘수(사진=한국문화재재단).
한지의 우수성은 세계도 주목하고 있다. 2017년 루브르박물관에서는 한지를 이용해 막시밀리안 2세의 책상을 복원했다. 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505년 제작한 자필 노트 ‘새의 비행에 관한 코덱스’, 로마가톨릭 수도사 성 프란체스코의 친필 기도문, 6세기 비잔틴 시대 복음서 등의 복원에도 모두 한지를 사용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역사 왜곡 행위가 있을 때마다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조법종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중국 측의 무리한 주장이 있을 때마다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강력한 입장을 피력해야 한다”며 “역사의 근간을 유지하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기조와 방향을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지의 제조 과정_닥 방망이질 하기(사진=한국문화재재단).
홍춘수 한지장인의 한지(사진=한국문화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