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서피비치’ 성공 비결은…“이래야 지방 창업 안 망한다”[ESF 2023]

by이다원 기자
2023.06.09 04:00:00

박준규 양양 ‘서피비치’ 창업자 인터뷰
‘낀 도시’ 살리려 고민…서핑·파티 콘텐츠 기획
지방 젊은 창업자, 지속 가능성 없는 경우 많아
촘촘한 창업 교육·지원+동료 우선한 마음 필요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지역에서 창업해 돈을 벌 수 있다면 사람들이 떠나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지방에는 몇 년 만에 망하고, 빚까지 지게 되는 젊은이가 여전히 많습니다. 동료와 함께 지방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해야 합니다.”

오는 21~22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인구절벽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에 연사로 나서는 박준규 서피비치 대표가 서울 중구 KG타워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강원도 양양을 서핑의 ‘성지’로 만든 박준규 라온서피비치리조트 대표는 7일 이데일리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성공적인 ‘로컬(지방) 창업’을 위해 교육·지원이 함께 가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로컬 창업에 대한 박 대표의 지론은 확실하다. 그는 “로컬 창업은 매출 대부분이 여행객에게서 나온다고 생각한다”며 “여행자가 돈을 주고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는 직업을 만들어주는 일”이라고 했다. 지역을 찾는 여행객은 콘텐츠를 즐기고, 직원들은 정당한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사업을 기획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지역 인구가 늘고 경제도 돌아간다. 지속 가능한 지방 생태계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이는 박 대표의 치열한 고민을 통해 나온 결과물이다. 그는 로컬 창업과 지역의 특장점, 어떤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것인지 등을 촘촘히 기획해 지난 2015년 ‘서피비치’를 탄생시켰다. 양양은 강릉과 속초라는 한국 대표 관광지 사이에 낀 한적한 도시였다. 군사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제한된 바다도 많아, 일 년에 딱 45일만 개장하는 해수욕장 장사도 제대로 하기 어려웠다.

드물게 보이던 서핑샵 몇 곳이 박 대표에게 아이디어를 줬다. 파라솔과 튜브 대신 젊은 서퍼들이 해변에 등장했다. 굳이 서핑하지 않아도 이들을 구경하려는 이들이 몰렸다. 마치 발리처럼 밤에는 ‘해변 파티’도 열렸다. 해외에 가지 않고도 이국적인 해변을 즐길 수 있다는 소문이 소셜미디어(SNS)를 타고 퍼졌다.

이제는 연간 MZ(밀레니얼+Z)세대 수십만명이 찾는 대표 관광지가 됐다. 성수기도 5월부터 10월까지로 길어졌다. 최근에는 아름다운 일몰을 보며 요가 수련을 하는 콘텐츠까지 확장했다.



현재 서피비치는 계절직 사원 100여 명을 포함해 총 130명가량의 직원을 두고 있다. 타지에서 오는 계절직 사원들은 100% 숙소를 받는다. 양양 노인들이 하던 민박집을 통째로 빌렸다. 현재 양양 인구는 2만7000명으로 서피비치 창업 이후 꾸준히 늘어 왔다. 머무는 사람이 늘어나니 지역 경제도 살아났다. 박 대표는 “성수기에 주변 식당 사장님에게 손님을 보낸다고 하면 바쁘다고 툴툴댄다”면서도 “그래도 열심히 준비하며 넉넉한 마음을 보여준다”고 말하며 웃었다.

오는 21~22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인구절벽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에 연사로 나서는 박준규 서피비치 대표가 서울 중구 KG타워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제2, 제3의 양양이 더 나올 수 있을까? 그는 상황이 더 바뀌어야 한다고 봤다. 지방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많은 이들이 창업을 결심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들에게 지원금을 뿌리지만, 대부분이 빚잔치로 끝난다. 결국 빚을 갚기 위해 이들은 일을 찾아 떠나고 지역 경제 규모도 함께 쪼그라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박 대표는 “로컬 창업을 이해하고, 사업 아이템과 기획·운영·실행안까지 나온 사람들을 지원해야 지속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예비 창업자들은 △고객 △동료 △지역 등 세 분야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라”며 “이해관계가 상충할 때는 동료의 이득을 우선해야 한다”고 했다.

지자체 입장에서도 꾸준히 수익을 내고, 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곳을 유치하는 게 낫다고 봤다. 박 대표는 “지역에서는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 10곳보다 한 달에 400만원씩이라도 남기는 창업기업 200~300곳이 나오는 게 더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준규 대표는 오는 21~2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 연사로 참석해 로컬 창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나눈다. 마지막으로 박 대표는 “젊은 시절 자신감만으로 창업했다가 망했고 3년을 신용불량자로 살아봤다. 그래서 청년 창업가 아이들이 돈을 버는 것보다 망하지 않게 하는 데 더 관심이 있다. 준비된 아이들이 창업하는 시대가 왔으면 한다”고 바람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