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실적 한파 저축은행…부실채권 매각으로 숨통 트일까

by박미경 기자
2023.06.08 05:54:32

자산규모 상위 5곳 저축은행, 1분기 순이익 80% 급감
수신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 동시에 늘어나
부실채권, 캠코 아닌 민간에도 팔 수 있게 돼

이 기사는 2023년06월07일 17시54분에 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금리상승에 따라 이자 비용이 증가하면서 저축은행업계가 9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다만 하반기부터 부실채권을 매각할 기회가 확대되는 만큼 건전성 우려가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축은행 79곳, 9년 만에 ‘순손실’

(사진=연합뉴스)
7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저축은행 79곳의 당기순이익은 총 523억원 손실로 전년 동기(4561억원 순이익) 대비 적자 전환했다. 지난 2014년 2분기 이후 9년 만의 손실이다.

자산 규모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순이익 합계는 32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1711억원)와 비교했을 때 80.8% 급감했다. 자산규모가 가장 큰 SBI저축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901억원) 대비 95.9% 감소한 37억원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도 같은 기간 각각 20.3%, 70% 감소했다.

저축은행의 실적 악화 요인으로는 수신금리 상승으로 인한 조달비용 증가가 꼽힌다.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를 올려 이자이익이 증가했으나 동시에 수신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비용도 같이 늘어나면서다.

같은 기간 상위 5개 저축은행이 지출한 이자비용은 6822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동기(3298억원)와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급증했다.

게다가 고금리·고물가 등의 영향으로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면서 연체율도 같이 늘어났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업계의 잠정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연체율은 5.1%로 지난해보다 1.7%포인트(p) 올랐다. NPL 비율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중을 뜻한다.



이달 중 부실채권 매각 규제 완화…“연체채권 관리 수월해질 것”

(자료=금융위원회)
한편, 하반기부터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을 시장에 유연하게 매각할 기회가 확대돼 건전성 우려가 다소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저축은행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채권을 매각할 수 있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유동화전문회사에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을 매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저축은행을 비롯한 금융사는 부실채권(NPL) 전문 투자사에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을 매각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저축은행이 자산유동화 특수목적회사(SPC)에 연체채권을 매각하면 SPC는 다시 채권 투자자에게 파는 방식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인 지난 2020년 6월부터 금융사의 부실채권을 캠코에만 판매할 수 있었다. 공공기관에 채권을 매각함으로써 과잉 추심을 방지하고, 개인 채무자의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저축은행업계는 불법 추심이 우려되지 않는 선에서 연체채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캠코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부실채권을 헐값에 매입해왔으며, 가격 협상에 이견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캠코에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것이 정부 방침이었는데 매입가격이 낮게 책정된다는 하소연이 들린다”며 “당장 부실채권을 매각하지 않고 유보하는 곳도 비일비재했다”고 답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채권추심을 하지 않기 때문에 (캠코에서) 시장 가격보다 낮게 매입가격이 정해진다”며 “이번 규제 완화로 인해 연체채권 관리가 보다 수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