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가족' 현실같아 섬뜩한 가족 부조리극…앙상블 최대치로 완성한 서늘한 수작[봤어영]
by김보영 기자
2024.09.24 18:41:16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딜레마에 처한 혈연 가족의 연대가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을 상실한 현대사회에 던지는 섬뜩한 부조리극. 처절한 앙상블, 섬세한 연출로 영화적 오감을 충족하는, 후폭풍 거셀 서늘한 수작이 탄생했다. 영화 ‘보통의 가족’(감독 허진호)이다.
‘보통의 가족’은 각자의 신념을 가지고 살아가던 네 사람이 아이들의 범죄현장이 담긴 CCTV를 보게 되면서 모든 것이 무너져가는 모습을 담은 웰메이드 서스펜스다. 네덜란드 작가 헤르만 코흐의 베스트셀러 소설 ‘더 디너’를 원작으로 한국적 정서에 맞게 각색했다. ‘보통의 가족’은 지난해 열린 제48회 토론토 국제영화제를 통해 먼저 공개된후 일찍이 해외 평단 및 관객들의 극찬을 받으며 입소문을 탔던 작품이다. 영화의 뼈대가 된 원작 소설 ‘더 디너’는 사실 이전에도 여러 국가에서 수차례 리메이크된 바 있다. 명성이 있는 IP(지식재산)였기에 국내외 영화팬들의 기대만큼 우려도 컸다.
토론토국제영화제 초청 후 약 1년 만인 24일 국내 시사회를 통해 베일을 벗은 ‘보통의 가족’은 다행히 리메이크 영화의 딜레마를 충실히 해소했다. 원작의 기본 틀에 한국의 정서와 사회문제, 적절한 위트를 섞어 새로운 색깔을 빚어낸다.
영화는 각자 화목한 가정을 꾸리고 사회, 경제적인 성공까지 거둬 겉으로 보기에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사는 유복한 형제 ‘재완’(설경구 분)과 ‘재규’(장동건 분) 부부 네 사람의 시선을 따라간다. 재완, 재규 형제는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부부 동반 식사 자리를 가질 만큼 우애가 깊다. 집안의 대도사와 주된 결정도 식사 자리에서 함께 논의하는 사이. 하지만 두 형제의 성격과 직업은 물과 기름과 같다. 먼저 첫째 재완은 의뢰인의 도덕성과 관계없이 돈이 되는 사건이라면 전부 수락하는 대형 로펌의 잘 나가는 변호사다. 자신이 맡은 사건의 의뢰인이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보단 이 사건이 이길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에 집중하는 지극히 이성에만 충실한 인물. 의사인 둘째 재규는 정반대다. 유능한 의료 실력으로 충분히 개인 병원을 개업할 수 있음에도 몸이 힘든 종합병원 근무를 택하며, 환자의 빈부와 관계없이 직업인으로서 윤리와 정의를 지키고자 최선을 다한다. 육체와 정신이 온전치 못한 노모도 자식된 도리를 다하고자 요양병원에 보내지 않고 고집스레 직접 돌보려 한다. 형제만큼 아내들의 특징도 정반대다. 재완은 젊고 자기관리 잘하는 어린 아내 지수(수현 분)와 재혼해 늦둥이 둘째를 낳았다. 재규는 연상의 아내 연경(김희애 분)과 나름의 알콩달콩한 결혼생활을 즐기고 있다. 연경은 재규와 함께 봉사활동을 다니는 것은 물론, 직업 활동을 하면서 고2 아들 케어에 병든 시어머니 간병까지 완벽히 해내는 알파맘이다. 막강한 재력과 권력으로 윤택한 일상을 누리던 네 사람의 삶은 자식들이 저지른 범죄 현장을 우연히 목격하며 송두리째 흔들린다.
혈연이란 사실 외 공통점은 없어도 큰 갈등 없이 우애를 이어왔던 이 형제 부부는 자식들이 저지른 범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둘러싼 각자의 의견이 극명히 엇갈리며 균열이 일기 시작한다. 숨기고 덮으면 아이들의 범죄가 없던 일이 되는, 선택지가 있는 딜레마에 놓인 네 사람은 아이들의 상황, 사건의 흐름이 변할수록 걷잡을 수 없는 감정의 소용돌이에 휩싸인다. 혈연으로 굳건히 연결돼있다고 믿던 가족의 결속 역시, 극한의 감정 급변하는 각자의 선택들 속에서 속절없이 붕괴해버린다.
뛰어난 음악, 원거리와 타이트를 가쁘게 오가는 앵글의 전환, 네 배우의 폭발적 앙상블이 조화롭게 시너지를 발휘했다. 여기에 중간중간 긴장을 환기시킬 유머, 풍자 요소 및 대사들까지 적재적소에 배치돼 러닝타임 109분을 힘있고 몰입감있게 이끈다.
이 영화에서는 아이들의 범죄 현장을 알기 전 네 사람의 저녁식사, 범죄 사실을 접한 후 이를 논의하는 저녁식사, 아이들의 범죄에 대한 최종적 선택을 밝히는 마지막 저녁식사까지. 세 번의 저녁식사 장면이 매우 주요하게 등장한다. 식사 때마다 다른 네 사람의 감정 및 입장변화를 감상하는 게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찻잔 속 태풍처럼, 장면의 호흡은 길고 식사 자린 정적이지만 눈빛과 표정, 연경과 지수가 입은 옷의 패션 변화 등 세세한 디테일적 요소들이 극 후반으로 갈수록 손에 땀을 쥐는 긴장을 유발한다.
설경구, 장동건, 김희애, 수현 네 배우는 물론 자식 역할을 맡은 아역들까지 영화에 등장한 모든 배역들이 구멍없는 열연으로 웰메이드 서스펜스를 끌어낸다. 특히 이 작품으로 오랜만에 스크린에 컴백한 장동건의 연기 변신이 경이롭다. 장동건이 연기한 ‘재규’는 아이들의 범죄 현장을 맞닥뜨린 후 네 인물 중 가장 급격한 심리 및 감정 변화를 겪는 인물이다. 때론 가족 구성원의 원성을 들으면서까지 정의감과 도덕성을 고집스레 고수해온 재규가 내 자식의 범죄를 맞닥뜨린 후 고뇌하다 감정을 폭발시키며 끝내 민낯을 드러내는 역동적 과정을 설득력있게 그렸다. 아이의 부모라곤 믿기지 않을 만큼 줄곧 이성적이고 냉철한 ‘재완’을 연기한 설경구의 열연은 4인 앙상블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균형점이 되어준다. 여유로운 듯 치열히 대립하는 설경구와 장동건의 케미스트리가 4인의 갈등과 입장 전복, 파국의 엔딩까지 이어갈 수 있는 원동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희애가 연기한 ‘연경’은 자식과 가족에 헌신하는 모성의 맹목적 감정을 현실감있게 대변하는 캐릭터다. 우애 깊고 잘난 형제들이 자식의 문제 앞에 지나치게 이성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모습에 연경이 ‘돌아버리겠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갑작스레 굴러들어온 어린 형님(지수) 앞에 눈을 흘기며 기싸움을 시전하는 면모 등은 뜻밖의 유머 요소로도 활약한다.
수현이 연기한 ‘지수’는 설정상 상황에서 한 발짝 떨어진 인물인 만큼, 연기를 하면서도 동떨어져 보일 우려가 있는 어려움 많은 캐릭터다. 그럼에도 수현은 세 배우의 텐션 경쟁에 적절히 뛰어들며 중립자이자 관찰자, 관객의 의구심을 대변하는 대변자로서 캐릭터의 기능과 역량을 충실히 발휘했다.
그 끝에 남는 건 날카로운 질문과 묵직한 여운이다. 혈연 가족의 헌신적 유대가 개인의 양심과 충돌할 때, 가족 구성원과 사회 구성원으로서 미덕이 어긋날 때 우린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다소 불편하고 찝찝하지만, 삶을 살며 한 번쯤은 고민해봐야 할 화두를 던지는 작품이다.
10월 개봉. 15세 관람가. 러닝타임 10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