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대형 콘서트 열 곳 없어…테일러 스위프트도 韓 패싱"
by김현식 기자
2024.01.16 18:08:22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2024 정책 세미나' 개최
서울시 공연장 부족 및 암표 성행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서울시에 대형 콘서트를 열 곳이 없습니다. 글로벌 톱 아티스트들은 한국을 ‘패싱’ 하고 있습니다. 현실적 대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대중음악공연 업계 관계자들이 이 같이 입을 모으며 해결책 마련 필요성을 역설했다. 사단법인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하 음공협)가 16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대중음악공연산업의 위기, 문제와 해결방법은 없는가’를 주제로 연 ‘2024 정책 세미나’ 자리에서다.
음공협은 라이브 콘서트, 페스티벌, 월드 투어, 내한 공연 등을 주최, 주관, 제작, 연출하는 45개 회원사가 모여 만든 단체다. 이번 세미나는 서울시 공연장 부족 및 암표 거래 성행 문제로 인한 위기 상황에 대한 업계 관계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했다.
발제자로는 최윤순 라이브네이션코리아 이사, 김은성 비이피씨탄젠트 대표, 서병기 헤럴드경제 선임기자, 백세희 디케이엘파트너스 법률사무소 변호사 등이 나섰다. 토론자로는 음공협 이종현 회장, 최수진 문체부 대중문화산업과 사무관 등이 참여했고 신원규 음공협 부회장이 모더레이터를 맡았다.
세미나에서는 서울시 공연장 부족 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발제자로 나선 이들은 K팝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는 대규모 인원이 관람할 수 있는 공연장이 부족해 공연제작자 및 아티스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콜드플레이, 테일러 스위프트 등 톱 수준 해외 아티스트들이 최근 월드 투어를 진행하면서 한국을 일정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8월 잠실 주경기장이 노후화로 인한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한 이후 3만5000명 이상이 운집하는 대형 공연을 개최할 장소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잠실 주경기장 리모델링 사업 준공 예상 시기는 2026년 12월이다. 이 가운데 대체 공간으로 거론되는 곳 중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잔디 훼손 등을 이유로 들며 대관을 쉽게 내주지 않고 있으며, 한강공원은 과도한 소음 및 시간 규제와 주류 판매 금지 등으로 인해 공연을 원활하게 개최하기가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김은성 비이피씨탄젠트 대표는 “잠실 주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게 된 이후 연쇄 작용으로 KSPO DOME(1만5000석 규모), 고척 스카이돔(2만5000석 규모) 등 다른 공연장들의 대관 또한 어려워졌다”며 “공연장 부족으로 인해 K팝 메카인 서울시에 해외 관광객들이 방문하지 못하는 것은 국가적 손해다.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음공협 이종현 회장은 관련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 및 지원을 위한 서울시, 체육계와의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고 역설하면서 “이번 세미나가 산적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수립하는 초석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암표 거래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시간도 마련됐다. 이 과정에서 업계 관계자들은 관련 규정을 실정에 맞게 개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암표 자체를 법률상으로 불법화하고 처벌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세희 변호사는 “1973년 만들어진 경범죄처벌법은 암표 매매를 대면 판매로 제한하고 있어 실정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올 3월부터 시행되는 공연법의 경우 몰수·추징 규정이 없어 범죄 수익이 벌금을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해 처벌규정이 범죄 억지력을 갖기 어렵다. 또한 ‘매크로’ ‘상습 또는 영업’ 요건에 포섭되지 않는 암표 판매가 회색지대로 남을 수 있어 한계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현장에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도 참석했다. 이상헌 문체위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K팝이 세계 시장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내 공연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실질적 방안과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체위 소속인 국민의힘 김예지, 김승수 의원도 “공연 인프라 발전을 위해 국회와 정부가 함께 고민해봐야 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