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통토크]김동호 BIFF 조직위원장 "영화제 전 정관개정 하겠다"

by박미애 기자
2016.06.20 10:02:11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동호 부산영화제 조직위원장 인터뷰
[이데일리 스타in 박미애 기자]김동호 위원장이 부산국제영화제에 복귀했다. 김동호 위원장은 지난 달 24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 임시총회를 통해 조직위원장으로 선출됐다.

김동호 위원장이 선출되며 부산국제영화제 사태도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드는 분위기다. 영화인들은 분개심을 참고 ‘이 다음’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영화제를 둘러싼 갈등이 봉합된 것은 아니다. 영화인도 보이콧 방침을 거두지 않았다.

김동호 위원장은 “영화제 전에 정관개정을 마치고 영화인들을 설득해내겠다”고 분명한 목소리로 말했다.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까지 4개월, 영화제 정상 개최를 위해 글로벌한 발걸음을 끊임없이 내딛고 있는 여든의 노익장을 부산국제영화제 서울사무소에서 만났다.

김동호 위원장은 몸이 두 개여도 부족할 판이다. 그는 조직위원장 추대 소식이 전해진 다음날인 지난 달 10일 프랑스 칸으로 날아갔다. 세계 3대 영화제, 그 중에서 최고로 꼽히는 칸국제영화제에서 세계 영화인들에게 영화제 지지에 대한 감사와 정상 개최를 공표했다. 칸에서 돌아온 후에도 쿠바 아바나, 프랑스 파리, 중국 상하이를 다녀왔다. 올해 영화제를 위해서다. 국내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영화제 및 영화 관련 행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김동호 위원장은 복귀 소감으로 “어깨가 무겁다”며 알 듯 말 듯한 미소를 지었다.

“집행위원장으로 15년을 지냈고 명예집행위원장으로 물러나 6년을 있었습니다. 다시 (일선으로) 들어가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을 리 없었지요. 게다가 감사원의 감사결과로 집행위(집행위원회) 간부들이 기소가 됐습니다. 저도 도의적인 책임을 느꼈고, (조직위원장직을) 사양을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영화제가 5개월 앞으로 다가오니까 절박함이 생기더군요. 어떻게든 영화제가 열려야 한다는 생각에 수락을 했습니다.”

기존 부산국제영화제 정관에는 조직위원장은 부산시장이 당연직으로 한다는 조항(정관 개정 전 제10조 제2항 제1호)이 있었다. ‘다이빙벨’ 사태를 겪으며 지난 달 그 조항이 삭제됐다. 부산시장이 지난 20년간 조직위원장을 맡았는데 김동호 위원장이 선출되며 20여년 만에 첫 민간 조직위원장이 탄생했다. 조직위원장은 조직위원회를 대표하고 조직위원회의 업무를 통할하며 총회 및 임원회를 주재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총회는 임원 선출 승인 및 해임, 정관 변경, 예산 및 결산 승인, 사업 계획 승인 등 중요한 결정 사항을 의결한다(집행위원장은 조직위의 효율적인 운영과 집행을 위해 둔 집행위를 대표한다). 김동호 위원장이 선출됨으로써 부산시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기대하는 분위기다.

영화인들은 여전히 불신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영화 한 편 상영에 영화제의 자율성, 독립성이 훼손됐다. 자율성, 독립성 사수를 위한 싸움은 지난했고, 영화제에 헌신했던 이용관 전 위원장이 물러났다. 일련의 사태에 대해 영화인들은 올해 영화제를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영화인들을) 설득해야지요. 설득을 위한 전제 조건 중 하나가 정관개정입니다. 정관개정의 중요한 내용이 자율성, 독립성, 표현의 자유입니다. 원래는 올해 영화제를 치르고 내년 2월 정기총회 때까지 정관개정을 마치기로 얘기를 했는데 그때까지 기다릴 것 없이 영화제 이전에 정관개정을 하려고 합니다. 그렇게 하면 영화계에서 영화제에 동참해줄 수 있지 않을까요.”

김동호 위원장은 이제 정관개정을 위한 주도권은 자신에게 있다면서 확신 있게 말했다. 정관개정의 중요한 쟁점이 조직위원장의 선출 방법이다. 그는 여기에 한 가지 조항을 더 포함시킬 계획이다.

“우리의 헌법에 학문·예술의 자유가 보장돼 있습니다만 ‘다이빙벨’ 사태로 표현의 자유가 문제가 된 만큼 정관개정에 조직위원장도 관여할 수 없도록, 영화를 선정하고 상영하는 것이 집행위의 고유 권한임을 정관에 넣으려 합니다.”

김동호 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 1996년 1회부터 2010년까지 집행위원장을 지냈다. 이후에는 일선에서 물러나 명예집행위원장으로 영화제를 도왔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아시아 대표 영화제로 성장한 데 일등공신이다. 그는 15년간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순간으로 영화제 출범 때 예산 문제와 영화의전당 건립 때를 들었다. 둘 다 맨땅에 헤딩하듯 일궈냈다. 그런 그에게 ‘다이빙벨’ 사태는 어느 정도의 ‘시련’인지 궁금했다. 그는 대수롭지 않은 영화 한 편이 일을 크게 키웠다고 봤다. 그는 “‘다이빙벨’ 사태로 여러 사람이 고역을 치르고 사법부까지 개입했지만 이번에 정관개정까지 잘 마무리한다면 오히려 우리 영화계가 영화제의 독립성, 자율성을 잘 지켜냈음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올해 영화제까지 4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 정관개정 및 영화인 보이콧 철회, 초청작 선정 및 게스트 섭외 등 할 일이 태산이다. 예산 확보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다이빙벨’ 사태를 겪으며 업체들로부터 스폰을 받기가 쉽지 않을 터다. 김동호 위원장은 강수연 집행위원장을 도와 잘 해결해내겠다고 전했다. 김동호 위원장은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용관 전 위원장은 한 인터뷰에서 시기적으로 김동호 위원장이 조직위원장직을 수락한 것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했다.

“이용관 전 위원장의 마음을 충분히 헤아릴 수 있습니다. 그렇게 말씀하실 만한 상황이고요. 칸(영화제)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이용관 전 위원장의 명예는 어떻게든 다시 회복시켜드려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제69회 칸국제영화제 기간에 마련된 부산국제영화제 런천 행사 당시 김동호 위원장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은…1937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나 1960년 서울대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61년 문화공보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영화진흥공사 사장, 문화부 차관 등을 지냈다.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출범 때부터 15년간 집행위원장으로 활약했고 2010년 명예집행위원장으로 일선에서 물러났다.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첫 민간 조직위원장에 선출됐다. 단국대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장, 동대문 미래창조재단 이사장 등도 맡고 있다.

△다이빙벨 사태는…지난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된 세월호 관련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을 당시 조직위원장인 서병수 부산시장이 정치적 중립을 훼손할 수 있다며 상영 중단을 요구, 영화계 및 영화인들의 반발을 샀다. 부산시는 감사원의 부산국제영화제 특별 감사 결과를 토대로 협찬금 중개 수수료 편법 지급 등의 혐의로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과 전·현 사무국장을 고발했다. 영화제 집행위 및 영화인들은 ‘다이빙벨’ 상영에 따른 보복이라고 주장하며 맞섰다. 지난 2월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재선임 불발은 영화인들의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을 촉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