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POP콘] 빌리 아일리시, G7에 "백신 공유해야" 서한 참여
by김보영 기자
2021.06.13 10:00:00
데이비드 베컴, 이완 맥그리거 등도 서한 서명
독특한 음악색과 소셜테이너적 면모, Z세대 인기 저격
지난해 대선 당시 조 바이든 공개지지, 투표 호소도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독특한 음악색과 함께 그간 꾸준한 정치, 사회적 목소리로 세계적 관심을 받아온 팝가수 빌리 아일리시가 이번엔 코로나19 백신 공유와 관련한 자신의 소신을 밝혀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11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오는 13일까지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정상회의가 국제적인 주목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G7로 포함된 국가는 아니지만 초청국가로서 한국도 참석한 이번 G7 회의에선 코로나19 백신 공급과 관련한 논의가 핵심 의제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이를 앞두고 빌리 아일리시를 비롯해 축구스타 데이비드 베컴 등 글로벌 셀럽들이 빈국에 백신을 시급히 보내야 한다는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 청원에 동참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 8일 영국 BBC방송 보도에 따르면 빌리 아일리시를 포함한 유명인사들은 늦어도 8월까지 보유 백신의 20%를 기부해달라는 취지로 G7에 보낼 서한의 서명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서명에는 테니스 선수 앤디 머리와 할리우드 배우 이완 맥그리거, 올랜도 블룸, 우피 골드버그, 모델 클라우디아 쉬퍼 등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들은 서한을 통해 “유니세프가 이미 빈국에 백신을 공급하고 있지만 1억 9000만회분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G7은 자국 내 백신 접종을 지연하지 않고도 6∼8월 보유량의 20%를 기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물량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들은 “그렇게 한다면 (백신 공유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에 1억 5000만회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또 “코로나19 대유행은 모든 곳에서 종식되기 전에는 어떤 곳에서도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바이러스는 여전히 많은 나라에서 퍼지고 있고, 우리 모두를 처음으로 되돌릴지도 모르는 변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심각성을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빌리 아일리시가 정치, 사회적인 이슈에 목소리를 내고 신념을 행동으로 보여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앞서 지난해 여성이자 최연소로 그래미 최초 주요 부문 4관왕을 차지해 세계를 놀라게 한 빌리아일리시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로, 세계의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세대) 젊은이들 사이에서 선풍적 인기를 누리는 ‘아이콘’과 같은 존재입니다.
우울, 착취, 방황 등 그 시대 청년들이 고민할 어두운 주제들을 자신만의 음악세계로 풀어낸 것도 한몫했지만, 정치-사회적인 의제들에 당당히 음악으로, 혹은 개인으로서 목소리를 내는 행보들이 Z세대의 공감과 지지를 끌어냈다는 평입니다.
가장 먼저 화제를 불러일으킨 것은 성적 구분을 없앤 ‘젠더리스’ 패션이었습니다. 여성 뮤지션 성적 대상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보여주는 행보였죠.
아일리시는 지난 2019년 5월 캘빈클라인 광고 캠페인을 통해 “세상이 나의 모든 것을 알게 되길 원치 않는다. 그래서 크고 헐렁한 옷을 입는다”고 밝히는가 하면, 또 다른 인터뷰에선 “내가 옷을 입는 방식을 칭찬하며 ‘당신이 소년처럼 옷을 입어서 기쁘다. 덕분에 다른 여성들도 소년처럼 옷을 입고 헤픈 여자가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고 언급했습니다. “여성이 얼마나 노출을 했는지보다 스스로 얼마나 편하게 느끼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나처럼 입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난하는 방식으로 나를 지지하는 이상한 흐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정치적 소신을 드러내는 것에도 거침없습니다. 지난해 미국 대선을 앞뒀을 당시에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조 바이든 당시 민주당 대선후보를 지지하는 찬조 연설을 해 시선을 집중시켰습니다. 대선 당시 유튜브에 ‘투표하세요’라는 영상을 올리고 “침묵은 선택지가 아니다”라며 “우리의 삶과 전 세계가 달려있다는 생각으로 투표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한 것도 눈길을 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