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업계, 거리두기 강화에 집단 반발…"영업시간, 최소한의 생존조건" [전문]

by김보영 기자
2021.12.16 09:44:16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정부가 16일 사적 모임 인원을 4명까지 축소하고, 식당 및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을 부활하는 등 방역 강화조치를 발표하자 영화 업계에선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영화업계는 이날 오전 ‘극장 영업시간 제한은 영화산업의 도미노 붕괴를 가져온다’는 제목의 긴급 성명을 배포했다. 해당 성명에는 Pgk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을 비롯해 DGK 한국영화감독조합 이사회, 사단법인 영화수입배급사협회,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상영관협회 등이 참여했다.

업계는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감안할 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움직임에 충분한 공감과 지지를 보낸다”고 정부의 의도를 존중하면서도 “다만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조정 시 다음과 같은 극장 및 영화산업의 특수성을 감안해 예외로 인정해 줄 것을 영화계 전체의 이름으로 강력히 요청한다”고 호소했다.

영화업계는 먼저 2년 이상 이어지고 있는 팬데믹 사태로 영화업계의 피해액 규모가 불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제대로 된 피해 보상은 없었다고 항변했다.

업계는 “극장들은 코로나로 관객이 급감한 가운데서도 영업 활동을 이어왔다”며 “극장이 문을 닫는 순간 한국 영화를 상영할 최소한의 공간이 없어지고, 이는 곧 영화계 전체의 생존에도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미 극장이 일찍이 정부가 내린 방역지침보다 강화된 형태의 방역 활동을 적용해왔던 만큼,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음을 증명해왔다고도 강조했다.

업계는 “상영관 내에서 마스크 착용은 기본이며 현재 취식도 금지돼 있다”며 “특히 방역 패스 적용으로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해서만 입장을 허용하는데도 업계가 자율적으로 좌석 띄어 앉기까지 적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상영 시간이 긴 영화의 특성상 영업시간 제한을 적용할 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고도 지적했다.

업계는 “기존 거리두기 4단계와 같이 영업시간 제한 22시(오후 10시)를 적용할 경우 영화의 상영 시간을 감안하면 19시 이후 상영 시작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며 “영화 관람 회차를 줄임으로써 국민들의 문화생활 향유를 심각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영화의 개봉을 막음으로써 영화계 전체에 피해가 확산되고 결과적으로 영화산업의 도미노식 붕괴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꼬집었다.

또한 영업 제한 시간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영화산업이 이어갈 수 있는 최소한의 생존 요건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이날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방역강화조치를 발표했다.

김 총리는 “사적모임 허용인원을 4인까지로 축소하고 전국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한다”며 “식당 및 카페의 경우 접종완료자로만 4인까지 이용이 가능하며 미접종자는 혼자서 이용하거나 배달, 포장만 허용된다”고 말했다.



취식이 가능해 감염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흥시설 등 1그룹과 식당, 카페 등 2그룹은 저녁 9시까지 운영시간을 제한하기로 했다. 3그룹 시설에 해당하는 영화관 및 공연장, PC방은 이보다 1시간 늦춘 밤 10시 제한을 적용하되, 청소년 입시학원 등은 예외로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번 거리두기 조정안은 토요일인 오는 18일 0시부터 특별방역기간 종료일인 내년 1월 2일까지 16일간 적용한다.

그간 팬데믹 장기화로 타격을 입은 영화계는 최근 마블 히어로 영화인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 개봉 및 ‘킹메이커’, ‘비상선언’ 등 톱배우들이 출연한 한국 영화 기대작들의 개봉이 잇달아 예정되며 조금씩 숨통을 트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확진자 수 증가로 거리두기 강화가 유력해지자 ‘비상선언’은 내년 1월 예정이던 개봉 시점을 잠정 연기했다. 이번 지침에 따라 오는 29일 개봉 예정이던 ‘킹메이커’를 비롯한 다수 한국 영화들이 줄줄이 개봉을 연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움직임에 충분한 공감과 지지를 보낸다. 다만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조정 시 다음과 같은 극장 및 영화산업의 특수성을 감안해 예외로 인정해 줄 것을 영화계 전체의 이름으로 강력히 요청한다.

- 다 음 -

1. 2년 여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영화업계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2억3천만 명에 육박했던 국내 관람객은 지난해 6천만 명 수준으로 급감했고, 올해도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영화산업 내 누적 피해액은 가늠조차 할 수 없을 정도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제대로 된 피해보상은 없었다.

2. 그럼에도 극장들은 코로나로 관객이 급감한 가운데서도 영업 활동을 이어왔다. 극장이 문을 닫는 순간 한국영화를 상영할 최소한의 공간이 없어지고, 이는 곧 영화계 전체의 생존에도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3. 안전한 관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극장들은 정부 지침보다 훨씬 강화된 방역활동을 적용해왔다. 상영관 내에서 마스크 착용은 기본이며 현재 취식도 금지되어 있다. 특히 방역 패스 적용으로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해서만 입장을 허용함에도 자율적으로 띄어앉기까지 적용하고 있다. 이 모든 조치는 코로나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공간임을 증명한다.

4. 기존 거리두기 4단계와 같이 영업시간 제한 22시를 적용할 경우 영화의 상영 시간을 감안하면 19시 이후 상영 시작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극장만의 문제가 아니다. 영화 관람 회차를 줄임으로써 국민들의 문화생활 향유를 심각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영화의 개봉을 막음으로써 영화계 전체에 피해가 확산되고 결과적으로 영화산업의 도미노식 붕괴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극장과 영화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정부의 방침을 충실히 따라왔지만 돌아온 것은 처절한 암흑의 시간이었다. 이제 영화산업의 최소한의 생존 조건은 보장해 주길 요청한다. 극장의 영업시간을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영화산업의 최소한의 생존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