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예능을 보다]2015년 지상파 3사를 살린 예능, 포맷이 답①

by강민정 기자
2015.09.15 08:00:00

‘프로듀사’ ‘동상이몽’ ‘복면가왕’
[이데일리 스타in 강민정 기자] ‘게스트 모시기’에 혈안인 때가 있었다. 어떤 프로그램보다 누가 나오는 프로그램이 연출의 주요한 기준이 된 때를 말한다. KBS2 ‘1박2일’, MBC ‘무한도전’, SBS ‘런닝맨’ 등 지상파 3사 간판 예능이라 불리는 장수 프로그램에서도 한때 스타 섭외에 열을 올렸던 적이 있다. 리얼 버라이어티 일색의 예능가에서 식상함을 털어낼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받아들여졌다. 신생 예능 역시 초반 시선 몰이를 위해 섭외에 많은 부분 기댔던 게 사실이다. 2015년 예능가 분위기는 바뀌고 있다. 올해 지상파 3사를 살린 예능을 보면 그 비결을 포맷의 힘에서 꼽을 수 있다. 케이블TV와 종합편성채널에 밀렸다는 평가 속에서 일군 값진 성과다.

△KBS, ‘예라마’의 탄생

지금은 간판 예능이 된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비롯해 최근 파일럿으로 선보였던 ‘네 멋대로 해라’까지. 포맷 베끼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KBS다. 올해 KBS 예능국은 ‘프로듀사’로 자존심을 세웠다.

‘프로듀사’는 예능과 드라마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시도로 화제가 됐다. 예능과 드라마라는 말을 합쳐 ‘예라마’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다는 평가도 들었다. 예능국에서 만드는 드라마라는 콘셉트로 형식의 틀을 깼다. 시트콤과 같은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이야기에서 차별화를 꾀했다. 시트코은 일회적인 에피소드로 구성되지만 ‘프로듀사’는 내용 전개의 형식을 드라마에서 따왔다. 드라마 작가지만 예능 작가로 데뷔한 박지은의 힘이 컸다. ‘개그콘서트’의 오랜 연출자인 서수민 PD와 멜로드라마의 거장이라 불리는 표민수 PD가 함께 연출했다. 장르를 섞고, 제작진을 섞고, 스태프를 섞은 시도는 ‘프로듀사’라는 독특한 작품을 완성했다.

김수현, 공효진, 차태현, 아이유 등 내로라하는 스타가 출연해 화려한 라인업으로 시청자를 현혹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스타 캐스팅은 ‘프로듀사’에 독이 되기도 했다. 연기력 논란에, 어색한 캐릭터 관계 등 첫회 방송 후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다. 제작진은 ‘연기력 공론화’에 함몰되지 않고 시청자가 새로운 장르에 적응하는 과정 상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연출의 톤을 수정하고 대본에 개연성을 더했다.

결국 KBS 예능국에서 오랜만에 맛본 두 자릿수 시청률과 광고 완전 판매 성과를 올렸다. 이후 KBS는 ‘프로듀사’와 같은 작품을 또 내놓기 힘들 것이라는 업계 분석과 달리 다솜과 류수영이 주연하는 ‘별난 며느리’를 후속작으로 내놔 시청자의 호평을 얻고 있다. 지상파 3사에서 시트콤 장르가 시청자의 공감을 사지 못해 폐지된 가운데 ‘예라마’가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기대가 실리고 있다.

‘복면가왕’
△MBC, ‘복면’의 반전

MBC의 일요일 밤은 2년 주기로 화려하고 초라했다. 2011년 ‘일밤’의 ‘나는 가수다’가 있었고, 2013년 ‘일밤’의 ‘아빠 어디가’ ‘진짜 사나이’ 론칭이 있었다. 2년 마다 예능가 판도를 흔든 히트 콘텐츠를 내놨다. 지난해 침체기를 겪었던 MBC는 2년 뒤인 올해 ‘복면가왕’으로 살아났다. 음악 경연이라는 콘셉트는 새로울 게 없었다. 다만 노래하는 이의 얼굴에 복면을 씌워 정체에 대한 궁금증을 극대화시켰다는 한끝 차이의 포맷이 엄청난 결과를 냈다.

‘복면가왕’의 민철기 PD는 “어떤 가수가 얼굴에 우스꽝스러운 복면을 쓰고 진지하게 노래를 부르고 싶겠냐,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을 문제라는 반대에 부딪혔던 프로그램이다”며 “파일럿으로 선보였을 때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고, MBC 예능국 전체가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고 놀란 분위기였다”고 돌아봤다.



‘복면가왕’의 성공은 포맷의 성공으로 직결된다. 실력을 인정 받고 싶지만 ‘아이돌이 무슨 노래야’라는 선입견에 부딪힌 이에게 빛이 된 프로그램이다. 잊혀지고 싶지 않지만 앨범을 낼 상황도, 불러주는 이도 없던 ‘중고 신인’ 혹은 ‘왕년의 스타’에게 기회의 땅이 됐다. 김연우, 임형주, 이정, 강민경, 장혜진 등 이미 대중에게 잘 알려진 가수들에게도 스스로를 시험하고 싶은 도전의 장을 열어줬다. 복면을 쓰고 무대 위에서 노래하며 대중의 평가를 받는다는 포맷이 이와 같은 파급력을 가질 줄은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다는 전언이다.

권석 MBC 예능국 부국장은 “파일럿 방송을 결정했을 때만 해도 ‘재미로 해보자’는 취지였지 정규 편성 가능성을 예상하진 못했다”며 “프로그램이 유지가 되려면 가수가 계속 나와줘야 하는데 그 수요가 과연 충족이 될지 의문이 가장 컸다”고 말했다. “‘누가 하겠어’, ‘이게 되겠어’라고 생각하다가 파일럿 이후 반응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고, 그때부터 역발상으로 포맷의 힘을 밀어부쳐 성공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동상이몽’
△SBS, ‘10대’의 청춘보고서

‘힐링캠프’는 3%대 시청률에 갇혔다. ‘불타는 청춘’은 4%대 시청률인데 ‘힐링캠프’보다 화제성이 떨어진다. ‘런닝맨’은 아직도 하냐는 혹평을 듣는다. 건진 프로그램이라곤 ‘정글의 법칙’뿐이다. KBS, MBC와 비교해 히트 콘텐츠의 파급력이 아직 덜하지만 SBS 예능국의 분위기를 환기시킨 프로그램이 있다. 유재석과 김구라가 진행하는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이하 ‘동상이몽’)다.

‘동상이몽’은 고민 해결 프로그램을 지향한다. KBS2 ‘안녕하세요 대국민 토크쇼’와 기획 의도는 비슷하다. 다만 ‘동상이몽’은 고민을 듣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절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10대’에 귀를 기울였다.

‘동상이몽’의 한 관계는 “세대 갈등이 사회 문제의 주요 원인이 된지 오래고, 예능이 가볍고 쉽게 그런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늘 고민했었다”며 “취재하며 늘 듣던 말이 ‘모든 사회 문제는 가정의 불화에서 시작된다’는 것이었다”고 되돌아봤다.

이어 “다큐멘터리에서나 가능한 포맷이 아닐까 회의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사회면에 나올 ‘사건’이 아니라 사춘기 자녀를 둔 집에서라면 누구나 공감할 집안 풍경을 스튜디오로 옮겨오자는 생각의 변화를 끌어냈다”며 “한 지붕 아래 살면서 다른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동상이몽’의 부모 자식 관계를 심각하게 바라보는 것이 아닌 ‘괜찮다, 괜찮다’라고 격려해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동상이몽’은 토요일 오후 8시45분, 타 방송사 드라마와 시청률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주 시청률 6%대를 기록하고 있다. 의미 있는 성과다. 청소년 성장 보고서라는 호평까지 챙겨 ‘동상이몽’의 입지가 탄탄해지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1994년부터 2001년까지 방송됐던 ‘기쁜 우리 토요일’의 ‘영파워 가슴을 열어라’(SBS)를 기억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 회를 거듭할수록 그때 그 느낌이 생각난다는 시청자가 많은 것을 확인했다”며 “마음 속에 감춰둔 이야기를 옥상에서 시원하게 던지던 10대의 목소리를 14년이 지난 뒤 다시 듣는 것 같다는 반응에 기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