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배우 배달하는 남자! '노무현' 최기웅 기사

by최은영 기자
2013.02.13 08:23:23

유명 배우 싣고 서울-대전-대구-부산
'실미도'부터 '도둑들'까지. 500여 편 무대 인사 도와
휴일 8일간 일하고 한달살이..'밥벌이의 즐거움'

“후계자 양성은 안 하나요?” 최기웅 씨가 요즘 즐겨 듣는 말이다. 그는 “마음 같아선 오래도록 하고 싶은데 나이 때문에”라고 태연하게 말하면서도 후계자 소리에는 “이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는 사람이 많아 걱정”이라고 웃으며 일 욕심을 냈다.(사진=김정욱 기자)
[이데일리 스타in 최은영 기자]“노무현 기사요? 맞습니다, 맞고요~”

수화기 너머로 호탕한 웃음소리가 전해졌다. 최기웅 씨. 나이는 50대 중반. 직업은 운전사다. 전국 극장에 배우를 배달(?)한다. 정확히 말하면 배우들의 무대 인사를 돕는 버스기사. 별명은 노무현이다. 이마에 깊게 팬 주름을 비롯해 동글동글 친근하면서도 편안한 외모가 흡사 노 전 대통령과 닮았다. 그분 생전에는 박중훈 등 배우들에게 “각하”로 불렸다.

물론 웃자고 하는 소리지만 업계 존재감만큼은 대통령에 버금간다. 독보적이다. 대한민국에 버스기사는 많지만, 배우전용버스를 전문적으로 모는 이는 최씨가 유일하다. 그와 함께 일하려면 최소 한두 달 전 예약은 필수다. 지난해 말 ‘26년’ ‘반창꼬’ ‘타워’를 거쳐 올해 ‘마이 리틀 히어로’ ‘7번방의 선물’ ‘베를린’ ‘남쪽으로 튀어’의 무대 인사를 도왔고 남은 2월은 ‘남자사용설명서’, ‘신세계’의 배우들과 함께한다. 상업영화 90%가량을 도맡고 있다. 4월 개봉하는 강우석 감독의 신작 ‘전설의 주먹’ 무대 인사 예약도 받아둔 상태다.

최씨를 만난 건 경기도 반월역 인근에 주차된 그의 리무진 버스 안에서였다. 검은색 애마는 한눈에도 위엄이 느껴졌다. “10년 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해외 바이어 접대용으로 사용하던 버스를 중고로 사서 쓰임새에 맞게 리모델링한 것”이라고 했다.

구매 당시 차량 뒤편은 쇼파며 가구 등 응접실로 꾸며져 있었다. 이 차량을 배우들이 이동 중에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고 때론 마주 보고 앉아 간단한 회의 등도 진행할 수 있도록 고쳤다. 회전의자에 쿠션을 덧대 착석감을 높이고 주문제작한 접이식 테이블에 여러 종류의 커피, 음료수 캔을 맞춰 끼울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컵걸이를 마련했다. 이 차에선 담배도 피울 수 있다. 흡연석에 달린 환풍기 팬이 담배연기를 쏙쏙 빨아들여 바깥으로 내보낸다. 최씨는 “어떻게 하면 배우들이 이 공간에서 좀 더 편안하게 쉴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지난해 여름 고깃집에서 힌트를 얻어 환풍기 팬을 버스 내부에 설치하게 됐다”고 말했다.

편안한 승차감과 더불어 해박한 전문지식, 특유의 서비스 정신 등도 인기 비결로 꼽힌다. 전국주요도로뿐만 아니라 지역별 극장 위치, 심지어는 맛집도 꿰고 있다. 한때 여행사를 운영한 경험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됐다.

“지금까지 직업을 열 번 정도 바꿨어요. 식당, 노래방, 카페, 볼링장 등 안 해본 사업이 없는 데 줄줄이 실패했죠. 여행사는 그래도 좀 나았는데 그것도 IMF 때 환율이 치솟으며 문을 닫아야 했고. 뒤늦게 깨달은 사실이지만 사업은 냉정해야 하는데 제가 사람 다루는 재주가 없었던가 봐요.”



최기웅 씨가 자신의 리무진 버스 안에서 지난 10년간 무대인사를 돌며 배우들과 맺은 소중한 인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흡연석이 있는 버스 내부(위)와 외관.(사진=김정욱 기자)
영화계와 연을 맺은 건 13년 전이다. 영화촬영 버스를 몰던, 충남 서산 고향 친구의 추천으로 지금의 일을 하게 됐다. 처음 2년은 친구를 따라다니며 분위기만 익혔다.

그러다 자신의 버스를 구매해 처음으로 무대 인사를 나선 영화가 강우석 감독의 ‘실미도’(2003년)다. 한국영화 사상 처음으로 10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다. 첫 단추를 잘 꿰서였을까. 이후 10년간 500여 편의 한국영화를 물밑에서 지원했고, 그 가운데 ‘왕의 남자’(2005년), ‘괴물’(2006년), ‘도둑들’(2012년)은 10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모으며 대흥행을 거뒀다.

한국영화 가장 끝자락에서 흥망성쇠를 함께해온 그다. 최씨는 “침체기에 있던 한국영화가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를 시작으로 잠시 살아났다가 이후 5년간 계속 내리막길을 걷지 않았느냐?”라며 “지금 다시 부흥기를 맞고 있지만, 그때는 정말이지 모두가 힘들었다”고 회고했다.

지금도 자신이 맡은 영화가 흥행에서 고전하면 운전대가 그렇게 무겁게 느껴질 수가 없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저는 그냥 운전만 하는데도 신기하죠. 잘 되는 영화는 버스 안이 왁자지껄 그야말로 잔칫집이에요. 그럼 왠지 차도 쭉쭉 잘 나가는 것 같고 저도 따라 신이 나 운전을 하는 데 반대의 경우에는 한마디로 죽을 맛입니다. 식사 메뉴도 달라져요. 흥행하는 영화는 근처 맛집, 흥행이 안 되면 값싼 자장면집을 찾지요.”

지난 10년간 무대인사 버스를 몰며 반 영화인이 다 됐다. 최씨는 일반 사람들과 거꾸로 된 삶을 산다. 남들 노는 주말, 공휴일에만 일을 한다.

“그래서 살림살이는 좀 나아지셨습니까?” 물어봤다. 최씨는 “크게 어려움 없이 먹고는 산다”며 “영화계는 엄격하고 까칠하다. 마음에 안 들면 공짜도 마다하는 게 이 바닥 생리다. 돈보다는 이 나이에 내 일이 있고, 나를 인정해주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더 소중하고 값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