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보영 기자
2025.07.10 06:00:00
상반기 관객 4249만…코로나 제외 21년 만에 최저
최고 흥행작 관객수가 338만…손익 돌파작은 1%뿐
시스템 개편→멤버십 출시, 영화관들 자구책 고심
"콘텐츠 다양성 부재…홀드백 등 정부정책지원 필요"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천만 영화 0편, 500만 영화 0편, 손익분기점(BEP) 넘긴 영화 6편’
올 상반기 극장 개봉작들의 성적표다.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을 제외하면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집계를 시작한 이래 21년 만에 최악이다. 이런 추세라면 심리적 마지노선처럼 여겨지는 ‘연 관객 1억 명’마저 무너질 판이다.
9일 영진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극장을 찾은 누적 관객 수는 4249만 7776명으로 집계됐다. ‘파묘’, ‘범죄도시4’ 등 2편의 천만영화가 있었던 전년동기(6292만 9390명)과 비교하면 2000만 명 이상 적다. 코로나19 대유행기(2020년, 2021년)를 제외하면 영진위가 관객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21년 만의 최저치다.
올해 상반기(1~6월) 주요 흥행작들의 성적을 다른 해와 비교해보면 더 암울하다. 올해 최고 흥행작은 338만 명을 기록한 ‘미션 임파서블8’과 ‘야당’이지만, 지난해 흥행순위 6위였던 ‘웡카’(353만 명)에도 못 미친다. 심지어 올해 개봉작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는 △‘야당’ △‘히트맨2’ △‘승부’ △‘검은 수녀들’ △‘말할 수 없는 비밀’ △‘신명’ 등 전체 582편 중 6편(1.03%) 뿐이다.
한국 영화 시장은 코로나19가 극심했던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면 2016년부터 2024년까지 9년간 매년 1편 이상의 천만영화를 배출했다. 9년간 선보인 14편의 천만 영화 중 상반기에 나온 작품이 7편으로 절반에 가깝다. 올해는 천만은 커녕, 500만 영화도 없는 실정이다. 손익분기점을 넘는 것조차 바늘구멍 통과하기로 여겨진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국내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좀비딸’, ‘악마가 이사왔다’, 마블 영화 ‘판타스틱4’ 등 기대작이 쏟아지는 7월말~8월초 성수기가 분수령”이라며 “연말에 나오는 ‘주토피아2’, ‘아바타: 불과 재’가 극장가를 살릴 것이란 기대감도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