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물'에서 옥동자로 돌아온 러시아 백신 그 비결은?

by노희준 기자
2021.02.09 17:18:06

유명 학술지 발표 임상 3상 91.6% 효과
1.2차 다른 아데노바이러스 사용해 효과 극대화
AZ 1차 접종 뒤 아데노바이러스 항체 형성...세포 침투 못해

러시아가 자체 개발한 백신 1차 임상시험 접종 모습. (사진=타스/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맹물’이 아니냐는 조롱까지 받았던 러시아의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가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옥동자로 돌아왔다. 다른 백신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뛰어난 임상 효과를 나타내서다. 정부도 스푸트니크 V 도입 가능성을 열어둔 가운데 전문가들은 플랜 B 차원에서도 러시아 백신을 배척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도입시 인종간의 차이 등을 고려할 때 소규모의 가교 임상(브릿지 스터디)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9일 외신 및 복수의 감염내과 교수들에 따르면, 러시아 보건부 산하 가말레야 센터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럴 벡터 방식의 백신이다.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돌기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설계도)를 감기를 일으키는 아데노바이러스 등 다른 안정된 바이러스 운반체(벡터)에 담아 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과 같은 계열이다.

백신 개발 방식은 비슷하나 스푸트니크 V 효능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보다 뛰어나다.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 란셋(Lancet) 논문에서 면역 효과가 91.6%로 나타났다. 지난해 만 18세 이상 1만 986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에서다. 이는 화이자(95%)나 모더나(94.1%)와 비슷하고 아스트라제네카(62~70%), 얀센(66%)을 크게 앞지르는 성적이다. 여기에 스푸트니크 V는 가격도 20달러(2회 기준)로 모더나(50~74달러)·화이자(40달러)보다 싸고 상온 유통(2~8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신우 경북대 감염내과 교수도 “(러시아가) 임상 3상도 없이 백신 허가를 내주는 과정이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이번에는 신뢰할 수 있는 좋은 과학 잡지에 3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며 “91.6%라는 아주 좋은 면역 효과를 거짓말이라고 볼 필요는 없고 그대로 믿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차이를 러시아 백신이 서로 다른 타입의 전달체 바이러스를 사용한 영향으로 봤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러시아 백신은 운반체로 사용한 바이러스가 1차(아데노바이러스 타입 26)와 2차(타입5)가 다르다”며 “면역원성을 높이기 위한 그들만의 노하우로 보이는데 그게 맞아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1·2차 접종 때 운반체로 같은 유형의 침팬치 아데노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1차 접종 후 침팬치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생겨 2차 접종 때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형성을 방해한다”며 “러시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쓰기 때문에 항체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바이럴 벡터는 운반체가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자를 세포내로 전달해줘야 그 안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몸에 아데노바이러스 항체가 있는 경우 백신 접종으로 몸에 넣어준 아데노바이러스(항원)가 이와 결합해 중화되면서 세포내로 침투를 못하게 된다. 이 경우 당연히 세포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자체를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전달체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러시아 백신의 효능을 좀더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은 “적어도 발표된 내용에 근거해보면 지금까지 러시아 백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발표에 허가 당국 승인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표시돼 있는 것은 아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스푸트니크 V 백신에 포함된 아데노바이러스 5형 또는 26형에 대한 기존 면역 반응 수준이 높은 그룹의 반응을 살피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백신을 도입할 때 가교 임상이 필요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우주 교수는 “란셋 논문이 3상으로써 충분히 인원도 포함된 데다 국내 백신 공급 계획에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플랜 B 차원에서 러시아 백신의 도입을 고려해볼 만하다”며 “다만 그냥 백신을 들여오기보다는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소규모라도 브릿징 스터디(가교 임상)를 해서 란셋 테이터와 비교되는 효능이 있는지 한번 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