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표 '100대 개혁과제'에 포스코대우 핵심계열사 '급부상'
by남궁민관 기자
2019.02.13 17:22:29
포스코대우, 국내 기업 최초 해외 곡물터미널 운영
지난해 말 브루나이와 LNG 벨류체인 확대 MOU도
기존 사업다각화 전략, 최정우 힘 보태기에 가속
| 김영상(오른쪽) 포스코대우 사장이 13일 유리 부드닉 오렉심 그룹 회장과 곡물터미널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포스코대우 제공 |
|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최정우 호(號) 포스코(005490)’에서 포스코대우(047050)가 그룹 핵심 계열사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해 그룹 ‘100대 개혁과제’를 발표하고 자원 및 에너지는 물론 식량사업을 주요 육성사업으로 지목했다. 마침 포스코대우는 김영상 사장의 전략적 판단 아래 미얀마 가스전을 중심으로 한 자원 개발 및 곡물 등 식량사업을 전개해왔던 터, 최 회장의 적폭적 지원을 등에 업게 됐다.
포스코대우는 13일 우크라이나 물류기업인 오렉심그룹이 건설 중인 곡물터미널의 지분 75%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포스코대우는 국내 기업 최초로 해외에 소재한 곡물 수출터미널의 운영권을 확보하게 됐다.
해당 곡물터미널은 우크라이나 주요 4대 항만 중 곡물수출 1위(22.3%)를 차지하고 있는 미콜라이프항 내 위치했다. 올해 7월 준공 예정으로, 연간 250만톤(t) 규모의 출하가 가능한 곡물터미널이다. 포스코대우는 이번 곡물터미널 운영권 확보를 통해 우크라이나 생산 곡물의 수매, 검사, 저장, 선적에 이르는 단계별 물류 컨트롤이 가능해졌을 뿐 아니라 제반 리스크를 줄이면서 개별 수요가의 요구에 맞춰 효율적 재고관리도 가능하게 됐다.
우크라이나는 전세계 주요 곡창지대로 손꼽히는 곳이기도 하다. 우크라이나는 식량 생산량이 지난 2007년 4000만t에서 2017년 7700만t으로 10년 사이 약 2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출량은 850만t에서 4300만t으로 약 5배 증가하며 신흥 곡물 수출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옥수수와 밀의 경우 각각 세계 4위와 6위 수출국이다. 향후 성장가능성도 높다. 미국 농무성(USDA)에 따르면 2027년 약 7500만t의 곡물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미국 카길, 스위스 글렌코어, 중국 중량집단유한공사(COFCO) 등 글로벌 곡물 기업은 물론 최근 스미토모 등 일본종합상사들의 우크라이나 진출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대우는 또 다른 그룹 주요 육성사업인 LNG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맡았다. 포스코대우는 지난해 11월 브루나이 현지 자원개발 국영기업인 페트롤리움 브루나이와 ‘LNG 벨류체인 사업확대’를 위한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NG 밸류 체인‘은 가스전 탐사와 생산부터 액화, 수송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의미한다. 포스코대우는 해당 MOU를 통해 전방산업 부분에서 브루나이 국내외 광구의 공동 탐사 및 개발과 함께 포스코대우가 자체 개발 중인 심해 광구 개발도 협력하기로 했다. 또 LNG 액화·수입 터미널 등 인프라 자산에 대한 프로젝트 공동 투자를 검토한다. 나아가 LNG 벙커링, LNG 공급까지 아우르는 LNG 밸류 체인 전반에 걸쳐 사업을 발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대우가 LNG와 곡물사업에 눈독을 들인 것은 더 이상 종합상사가 기존 무역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미얀마 가스전을 개발, 2013년부터 LNG 사업을 본격화했으며 지난 2017년 LNG 트레이딩 거래도 개시했다. 곡물사업 역시 2011년 인도네시아 팜 농장을 비롯해 2015년 미얀마 RPC(미곡종합처리장)를 운영 중이며 이와 연계된 곡물 트레이딩 역시 2015년부터 쌀을 시작으로 밀, 옥수수, 대두, 보리 등으로 영역을 넓히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해 최 회장 취임 이후 발표된 ’100대 개혁과제‘에서 해당 사업들이 주요 육성사업으로 꼽으면서 포스코대우의 신사업 확대를 통한 사업다각화는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포스코는 LNG와 관련 환경적인 부분에서 주목받는 에너지원으로 주목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LNG는 석탄을 대체하는 청정에너지로,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LNG 수요가 크게 증가될 것으로 봤다.
이와 함게 곡물 등 식량사업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세계적인 식량 파동에 대한 대응과 함께 국내 식량수급 안정화 등 ’국가식량안보‘ 측면에서도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실제로 쌀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현재 10% 미만으로, 대부분의 곡물 수급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 밀의 자급량은 1%대에 불과해 2017년 기준 옥수수 약 1000만t, 밀의 경우 약 500만t을 수입했다.
회사 관계자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수입터미널, 벙커링 등 LNG 관련 인프라 사업과 LNG 트레이딩 기회를 모색하고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LNG 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며 “곡물사업 관련해서는 조기에 연간 1500만t을 취급하는 한국 최대의 식량자원 기업을 목표로 농장-가공-물류 인프라에 이르는 식량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해 그룹의 100대 개혁 과제를 수행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