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미경 기자
2025.03.27 18:05:44
문광연, KCTI 인사이트 Vol.6 발간
'지속가능 콘텐츠산업의 ESG대응과 과제’
하이브·SM·JYP 등 ESG 사례 분석
사회·지배구조 측정기준, 가이드라인 필요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한국문화관광연구원(문광연·KCTI)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둘러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ESG 대응 방향과 과제를 다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KCTI 인사이트 Vol.6-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콘텐츠산업의 ESG 대응 방향과 과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산업은 급성장했으나 △산업 내 양극화 △노동환경 문제 △제작비 상승 △자본 집중 현상 등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어 지속발전을 위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환경(Environment)보다 사회(Social)와 지배구조(Governance) 요소가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성 핵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 10여 년간 ESG공시 의무화 및 공급망 실사가 확대·강화하면서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과 ESG 준수를 요구받고 있다”며 “이는 글로벌시장에 특화된 국내 콘텐츠산업에도 새로운 숙제를 안겨주고 있다”고 풀이했다.
업계 중심으로 ESG를 전략적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된다. 보고서는 “ESG 도입 확대가 장시간 노동, 불공정 계약, 청소년 노동 등 산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유럽 중심의 ESG경영 요구가 점차 높아지면서 NC소프트(게임), CJ ENM(영상), JYP(음악) 등 해외시장 진출(수출)이 중요한 주요 콘텐츠 기업들을 중심으로 자체 ESG 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ESG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ESG 경영을 도입하는 추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