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문승관 기자
2021.02.24 17:00:00
2030년까지 탄소소재 글로벌 시장점유율 15% 확보
선진국 대비 원천기술 확보·생산기술수준 90% 달성
탄소융복합 기업체 2020년 778개→2030년 1610개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 전문기업 300개를 발굴·육성한다. 이를 통해 탄소소재 글로벌 시장 점유율 15% 달성하고 원천기술 확보와 생산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90%까지 끌어올려 ‘탄소 소재 융·복합 산업 3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이러한 내용의 ‘2030 탄소소재 융·복합 산업 발전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하고 전북 전주시 덕진구에서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개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우선 3.0%에 머물러 있는 탄소소재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2030년까지 1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이를 위해선 원천기술 확보와 생산기술 수준의 향상이 필요한데 이를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선진국과 비교해 90%까지 달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2030년까지 수요산업 실증사업 프로젝트 300개(누적)를 추진하고 이 과정에서 탄소 융·복합 기업체 수를 현재 778개에서 2030년 1610개로 2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핵심 수요산업분야 기업 중 탄소 융·복합 기업은 약 1%에 불과한 실정이다.
산업부는 탄탄기업 200개사, C-스타트업 100개사 등 탄소 전문기업 300개사를 발굴해 육성하기로 했다. 탄탄기업이란 탄탄한 탄소기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탄소 소재·부품 성형·제조 분야 자체 기술력을 확보한 전문기업을 의미한다. 산업부는 모빌리티(50개사), 에너지·환경(60개사), 라이프케어(60개사), 방산·우주·건설(30개사) 등 탄탄기업 200개사 육성으로 생태계을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탄탄기업에겐 연구개발(R&D), 정책자금, 투자 등을 우선 지원하고 탄탄기업 대상 사업을 신설해 추진한다. 특히 중진공 정책자금, 소부장 전용 투자펀드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탄소소재 융·복합 산업 관련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이바지하는 ‘C-스타트업’ 100개사를 육성해 생태계 조성에 한 축을 담당하도록 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창업경진대회(Light-up Carbon)를 통한 100개사를 발굴하고 탄탄기업으로 육성하도록 지원한다.
산업부는 이날 개원한 탄소산업진흥원을 통해 ‘글로벌 톱3 탄소소재 산업 강국 도약’을 목표로 탄소소재 융·복합 산업을 전담해 지원하도록 할 계획이다. 탄소소재 적용으로 시너지 창출을 예상할 수 있는 ‘5대 핵심 수요산업 18대 중점분야’를 설정하고 수요 산업별 맞춤형 정책을 지원한다. 수요산업별 분과로 구성된 민·관 협의체 ‘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업종별 사업모델을 발굴해 수요를 창출한다. 기존 시장 확대를 위한 실증지원, 신규 시장 창출을 위한 유망기업 육성, 산업기반 조성을 위한 플랫폼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한편, 이날 산업부는 ‘탄소소재 융복합산업 얼라이언스’의 제1호 프로젝트로서 PAV(미래형 도심자동차) 분야 공급기업-수요기업 간 연대와협력 공동선언식을 진행했다. PAV란 전기동력을 사용해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3차원 미래형 운송수단이다,
공급기업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성능과 규격의 제품을 개발하고 수요기업은 개발된 제품의 상용화 지원을 위한 구매자 역할 수행을 통해 앞으로 높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는 PAV 분야의 수요를 창출하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의 개원은 ‘코로나-저성장 시대’에 연대와 협력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흥원을 탄소소재 융복합산업의 전담기관으로 조기 안착시켜 산업간 융·복합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