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안치영 기자
2025.03.27 17:14:02
복지부 ‘외과 병원 응급복부 수술 지원 시범사업’ 추진
소아 응급 96만 원→290만 원…환자 부담 증가 없어
지역지원금 최대 3억 원…“응급 수술 뺑뺑이 방지”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정부가 지역에서 맹장 수술 등 응급 복부 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을 늘리기 위해 지역 외과병원의 수술 진료비를 3배 인상했다. 이와 함께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외과병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대 3억 원의 지역지원금도 지급한다.
보건복지부는 27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외과계 병원 응급 복부 수술 지원 시범사업’을 논의했다.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 가능한 병원은 24시간 응급 복부 수술이 가능한 역량을 갖춘 지역병원(상급종합병원 제외)이다. 24시간 응급 복부수술 역량을 갖춘 외과계 병원으로 충수 절제술(맹장 수술), 장폐색증수술 등 복부수술(62개)을 연간 50건 이상 시행한 병원이 해당된다. 상근 외과 전문의 2인을 포함 외과 전문의 3인 이상이 있어야 한다.
요건을 갖춘 지역병원은 62종류의 응급 복부수술 중 하나를 시행한 경우 수술 및 관련 마취료를 100% 가산하고 응급수술 기능 유지를 위해 지역응급의료센터 등에 지원 중인 가산 수준을 고려해 비상진료 종료 시까지 한시적으로 100% 추가 가산한다. 즉, 기존 진료비에 3배가 지급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6세 이상 16세 미만 소아가 응급 입원해 맹장 수술을 하게 되면 수술 진료비는 종합병원 기준 96만 7820원이다. 지역 외과병원은 여기에 수술·마취료 가산(100%)과 비상진료 가산(100%)을 더해 290만 3460원을 받게 된다. 다만 비상진료 가산은 비상진료기간 종료 시까지로 한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