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파랑]고무장갑이 살린 ‘동남아 펀드’, 왜?

by김윤지 기자
2020.08.04 18:19:44

코로나19 라텍스 장갑 수요 급증
동남아 고무 생산업체 주가도↑
"구경제 비중 높은 점 유의해야"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고무장갑 만드는 기업 주식을 담은 덕에… ”

3개월 수익률 32.77%(에프앤가이드 8월3일 기준). 예금 금리가 1%대인 요즘 경이로운 성적을 낸 펀드가 있습니다. 동남아 주식형 펀드입니다. 국가·지역별 분류 중 가장 우수한 성적입니다. 해외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 17.54%, 국가별 분류 중 가장 설정액이 높은 중국 펀드 23.19%, 베트남 펀드 4.18%와 비교하면 월등히 견조한 수준입니다.

톱글로브 홈페이지 화면 캡처
동남아 증시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동남아 펀드는 베트남 및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 등 다양한 국가를 아우르는 만큼 포트폴리오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동남아 주식형 펀드는 총 15개로, 3개월 동안 수익을 6.93% 내는 데 그친 상품이 있는가 하면 ‘삼성아세안증권자투자신탁 3[주식-파생형]_A’(41.62%)와 ‘삼성아세안증권자투자신탁 2[주식](A)’(39.95%)는 40% 안팎의 성적을 냈습니다. 두 펀드의 차이는 환헤지와 환노출 차이로 동일한 모펀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즉 ‘삼성아세안펀드’가 동남아 펀드의 평균 수익률을 끌어올렸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삼성아세안증권자투자신탁 2[주식](A)’가 운용설정액 2332억원으로 가장 덩치가 큰 동남아 주식형 펀드 이기도 합니다. 투자 설명서에 따르면 아세안 국가의 해외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하는 모(母)투자신탁에 신탁재산의 60% 이상 투자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기준 모펀드의 보유 자산은 태국 스리트랑농산업(11.0%), 싱가포르 DBS홀딩스그룹(6.4%), 말레이시아 톱글로브(6.0%) 태국 식품 대기업 짜른포카판푸드(5.8%) 입니다. 언뜻 보기에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이중 두 종목은 고무장갑과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바로 스리트랑 농산업과 톱글로브입니다.



1991년 설립된 톱글로브는 세계 최대 고무장갑 생산업체입니다. 현재 고무장갑에 대한 세계 시장 점유율의 26 %를 차지합니다. 연초 4.65링깃(MYR)이었던 톱글로브는 지난 8월 3일 26.88링깃으로 올라와 무려 478.06% 상승했습니다. 미국 전기차업체인 테슬라가 같은 기간 245.14% 상승한 것보다 더 높은 수익률입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위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라텍스 장갑의 수요가 폭발했습니다. 올해 전 세계 고무장갑 수요가 전년보다 11% 증가한 3300억개로 추산됩니다. 이 같은 현상은 바로 실적에 반영됐는데요, 지난 분기(3~5월) 톱글로브의 순이익은 814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6% 급증했습니다.

스리트랑 농산업 역시 고무 농장, 고무 가공, 장갑 생산 등 천연 고무 산업을 주로 하는 회사입니다. 자회사인 스리트랑 글로브즈가 지난달 태국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운용보고서를 보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고무 장갑 제조업체인 말레이시아 슈퍼맥스도 담고 있었습니다. 슈퍼맥스도 같은 기간 1301.45%나 올랐습니다.

그런데 왜 고무장갑 생산업체가 이렇게 올랐을까요. ‘고무장갑’ 하면 설거지할때 쓰는 커다란 장갑을 떠올리죠. 하지만 이들 업체가 만드는 고무장갑은 의사들이 사용하는 손에 착 붙는 짱짱한 고무장갑입니다. 이런 의료용 고무장갑이 코로나19로 인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거죠.

모펀드를 운용하는 앨런 리차드슨 삼성자산운용 홍콩법인 책임 펀드매니저 역시 지난 3개월 동안의 펀드 성과에 대해 의료용 장갑 관련 주식에 기인한다고 말했습니다. 리차드슨 매니저는 “지난 3개월 동안 의료용 장갑 주가는 3배 이상 증가했지만 향후 12~18개월 동안 실적은 5배 이상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코로나19 이전 장갑 가격은 한짝에 0.2달러였다면 현재 현물 가격은 0.6달러에 거래되는 등 일회용 의료 장갑은 마스크처럼 낮은 가격대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큰 폭으로 가격 상승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동남아 시장 전체에 대한 전망은 신중했습니다. 동남아 시장 자체가 ‘코로나 국면’에서 각광 받는 IT, 헬스케어 등 신경제 보다 소재, 에너지 등 구(舊) 경제 비중이 높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리차드슨 매니저는 “코로나19 백신이 발견되기 전까지 동남아 시장은 선진국 대비 실적이 저조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