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재에 속앓는 진에어…실적·주가 반등 언제쯤?

by박태진 기자
2019.06.11 16:55:43

1Q 영업이익 531억… 국토부 제재 직격탄
주가도 4월 연고점 대비 30% 빠져
“제재 해제·여행 수요 증가해야”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제주항공(089590)과 함께 국내 대표 저비용항공사(LCC)로 꼽히는 진에어(272450)가 실적 악화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조현민 전 부사장이 ‘물컵 갑질’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후 그해 8월부터 국토교통부의 신규 운수 노선 배분과 신규 항공기 등록 제한 등의 제재를 받으면서 영업환경이 어려워진 탓이다. 주가도 올 봄 연중 최고점을 찍은 이후 30% 넘게 빠진 상태다. 증권가에서는 국토부의 제재가 풀리고, 여행 수요도 회복돼야 실적 개선 및 주가 반등을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1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진에어는 전거래일대비 9.85% 오른 2만2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가 뛴 것은 국토부 제재 해제와 관련한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되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다는 게 금융투자업계의 설명이다. 모처럼 만의 반등이지만, 지난 4월 15일 장중 한때 3만1250원으로 연중(52주) 최고점을 찍었을 때보다 무려 30.72% 하락한 수준이다.

진에어는 주가 흐름은 국토부의 제재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지난 4월 연고점을 기록했을 당시에는 5월 중 제재가 풀릴 것이라는 각종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이 컸다. 하지만 제재가 기약 없이 장기화되면서 주가는 하락했고, 지난달 중순에는 급락세를 보였다.

실적도 둔화됐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진에어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대비 13.77% 늘어난 1조107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34.98% 감소한 630억원에 그쳤다. 이 항공사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한 290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4.1% 줄어든 531억원에 머물렀다고 지난달 15일 공시했다.

전문가들은 국토부의 제재 영향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배세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진에어는 지난해 항공기재 도입을 감안하고 인력 채용을 실시했다”며 “하지만 국토부 제재 때문에 기재 도입이 연기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증가한 게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른 LCC 회사들의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과 달리 진에어만 역성장한 것은 제재 영향이 컸기 때문”이라며 “제재가 단기간 내에 풀릴 줄 알았지만 의외로 오래가고 있는 상황이며, 제재 해제 결정은 국토부 소관이라 현시점에서 예측하기도 힘들다”고 설명했다.



진에어가 실적 개선과 주가 반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제재가 먼저 풀려야 한다는 분석이다. 다만 2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인 만큼 이달 중 제재 해제가 된다고 해도 실적 개선은 힘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 연구원은 “실적 및 주가가 좋아지려면 제재도 풀리고 국내 여행수요도 좋아져야 한다”며 “그러나 항공사들은 통상 2분기가 비수기인데다, 국내 여행 수요도 예년보다 많이 줄었기 때문에 업계 전반적으로 실적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진에어가 제재 해제 시 영업 외 호재로 주가에는 힘을 받을 수 있으나, LCC업계가 부진하다보니 결과적으로는 안 좋은 실적을 수렴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다. 이에 시나리오별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진에어에 대한 관점 중 하나는 제재가 이달 중 풀려서 주가가 단기간 상승하겠지만 지속 반등은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고, 다른 하나는 6월에 풀리지 않으면 주가가 더 조정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긴했지만 최소한 여름휴가 시즌 전에 제재가 풀린다면 그나마 타격을 더 입지 않을 것이며, 지금 주가 및 실적 전망보다는 나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조 전 부사장의 한진칼(진에어의 최대주주) 경영복귀가 진에어에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는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그는 물컵 갑질 때문에 제재를 받았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며 “아직까지 국토부의 제재도 풀리지 않았는데 다시 복귀한다고 했을 때 방향성에 대해 알 수가 없는데다, 재계 및 한진그룹 이슈와도 엮여 있다 보니 회사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섣불리 예단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