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5.06.18 16:35:50
뚜렷한 증상없이 진행되는 실명 위험 질환, 정기적인 눈 종합검진으로 예방 권고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국가 건강검진이나 종합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눈 건강’은 쉽게 간과되고 있다.
‘2024 아시아태평양 지역 눈 건강 인식 및 관리 현황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8개국 약 4,300명 중 우리나라 응답자 약 500명의 97.4%가 눈 건강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실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비율은 22.7%에 불과했다. ‘불편함이 없으니 괜찮다’는 인식이 검진을 미루게 하는 주요 이유로 꼽혔다.
현재 국가 건강검진은 2년마다 시행되며 공통으로 시력검사를 포함하고 있지만, 단순 시력검사만으로는 눈의 구조적 이상과 실명 위험 안질환을 조기 발견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지난 5월, 안과학회와 한국망막학회는 ‘안저검사’를 국가건강검진의 필수 검사 항목으로 도입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한바 있다. 안저검사가 도입되면 5분 내로 망막과 시신경 이상을 확인할 수 있어 시력검사로 발견할 수 없던 3대 실명질환(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은 물론 기저질환 합병증으로 인한 안질환, 유전성 안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조기 진단이 가능해진다.
국가 차원에서 건강검진에 ‘안저검사’를 필수 항목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만큼, 정기적인 눈 종합검진은 이제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관리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과 PC 사용 증가,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노인성 안질환의 발생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눈 건강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해 전 연령층의 안질환 발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생활습관 변화로 발병이 빨라지는 안질환
전자기기 사용 증가 및 학업 시작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소아 근시율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근시는유전적 요인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부모 중 한 명 이상 근시가 있다면 성장기 안과 정기검진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소아 근시는 고도근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고도근시는 망막박리, 녹내장의 발병률을 높인다. 2030 세대에서도 실명 위험 안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 것이다.
◇ 눈 종합검진으로 발견된 안질환
서울 누네안과병원에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22년부터 24년까지 눈 종합검진을 받은 794명 중 18%가 각각 안구건조증과 망막질환, 14%는 각각 녹내장, 백내장이 발견됐다. 11%는 사시, 군날개, 다래끼, 결막염 등이 발견되었고, 25%의 환자에게만 이상소견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종합검진을 받은 환자들 중 일부는 자각증상 없이 진행되고 있던 안질환을 발견했고, 조기 발견을 통해 시기에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