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미세먼지 가득한 재난현장, A.I 태운 무인기 투입된다"

by오희나 기자
2016.02.25 17:35:12

[대전=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이르면 오는 11월, 황사가 가득한 재난 현장에 무인기가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사람이 투입될 수 없는 재난 지역에 인공지능 로봇을 태운 유·무인 복합운용 무인기가 투입되는 것이다. 현재 정부는 미세먼지를 완화하는 실증협력사업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이르면 연말께 재난 현장에 직접 무인기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무인기 활용은 재난활동에 그치지 않는다. 어두운 밤길 여성들의 ‘귀가도우미’로 드론이 활용될 날이 머지 않았다.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해 귀가도우미를 요청하면 비행드론이 충동해 안전하게 귀가하도록 임무를 수행한다.

또 원양 어선의 참치떼를 찾는 역할도 무인기가 대신한다. 기존 참치잡이 어선에서 고기떼를 찾는 역할로 사람이 운전하는 헬기를 사용했는데 이를 틸트로터 무인기가 대체할수 있다는 것이다.

틸트로터 무인기를 한국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자체개발한 기술을 탑재해 만든 무인기로 활주로 없이 이착륙이 가능하다. 항우연은 오는 2021년 상용화를 준비중이다.

주진 미래성장동력 수직이착륙무인기추진단장은 24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최한 ‘제17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 릴레이에서 “무인기 시장은 군수용뿐만 아니라 취미용, 산업용 수요가 확대되면서 연평균 15%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한국은 현재 세계시장에서 무인기 기술력으로는 7위 수준이지만 2025년 5위, 2027년에서 3위까지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차세대 무인기 원천기술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세웠다. 미래부는 재난·치안용 드론 개발 과제에 3년간 490억 원을 투입하고 산업부는 오는 2019년까지 395억원을 투입해 ‘국가 종합비행성능 시험장’을 세운다.

특히 최근 시장이 확대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드론’ 관련 산업을 키우기 위해 ‘드론비행성능시험센터(가칭)’구축도 추진된다.

정부는 먼저 공공부문에서 수요를 만들고 산업 등 민간으로 확산시켜 시장을 키운다는 방침이다.



송전탑, 택배, 소방 헬기, 과학, 영농 등 공공 목적의 무인기 4000대 이상 수요를 만들어내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시장을 확대하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해 산업과 민간 수요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기술경쟁력으로 앞서 있는 미국과 가격경쟁력으로 우위에 있는 중국에 밀리지 않기 위해 정부가 무인기 시장을 먼저 활성화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주 단장은 “무인기 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무인기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로드맵은 스스로 판단하고 위험을 피해가는 자율비행 무인기, 더나아가 사람이 탈수 있는 ‘개인용 무인기’가 최종 목적이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산학연 관계자들이 모여 무인기 정책부처 발전 방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정부는 무인기 전문 SPC를 설립하는 등 무인기 산업이 성장할수 있도록 금융과 연계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군과 이원화돼 비행허가 불편해소 위한 ‘통합 웹서비스’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드론이 레저 문화로도 자리잡을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명환 LG유플러스 상무는 5G·IoT·빅데이터를 결합한 차세대 드론 모델을 제시했다.

박 상무는 “무인자동차, 개인용 드론, 상업용 드론, 군용 무인기 등을 아우르는 통신사의 차세대 서비스는 관제 인프라 구축을 통한 자율주행·비행 제어라고 판단된다”며 “향후 LTE·5G 망을 이용한 초고화질 영상 서비스를 통해 드론 레이싱 경기 등 O2O 형태의 이스포츠 사업이나 인공위성 대체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와 융합해 물류, 농업, 재난 등에 활용될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방윤혁 효성 상무는 “무인항공기의 임무시간 및 운용반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2차 전지 분야와 연계해야 한다”면서 “현 플라스틱과 금속 소재를 가볍고 단단한 신소재로 교체해 체공 시간을 늘리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