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하지나 기자
2025.07.10 16:17:38
李정부 출범 후 첫 정년연장TF 회의
''법정 정년 65세 연장'' 노사 의견 청취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일정으로 잠시 멈췄던 당내 정년연장 태스크포스(TF) 활동을 재개했다. 특히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사항이었던 만큼 민주당은 연내 입법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 정년연장 태스크포스(TF)는 10일 3차 본위원회의를 개최하고 ‘법정 정년 65세 연장’에 대해 노사 양측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노동계 대표로 발제에 나선 이정희 민주노총 정책실장은 “가장 큰 원칙은 공적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 시기와 법정 정년 연장을 연계하는 것”이라면서 “현행 제도에서는 길게는 5년, 짧게는 3년 가량의 수급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연금은 63세부터 수령할 수 있고, 2028년부터는 64세, 2033년부터는 65세로 점차 상향 조정된다.
이 실장은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다”면서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을 할 수 있는 시기와 연금 수급 시기가 불일치한 탓”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사용자 측 대표로 발제한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본부장은 정년 연장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년 연장이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 및 청년 취업 감소를 야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연봉형 임금 체계에서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