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살된 국토 대동맥’ 경부고속道…지하화로 전성기 되찾나

by김미영 기자
2021.07.07 17:20:47

7월7일, 경부고속도로 개통일…‘도로의날’ 지정
전국 1일 생활권으로…이젠 일부 구간 상습정체 ‘골머리’
화성~양재 30㎞, 3조 들여 지하화 구상
“3조로 부족할 수도…정부, 쉽사리 결정 못할 것”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경부고속도로가 7일로 개통 51주년을 맞았다. 경부고속도로 개통일인 7월7일은 정부에서 1992년 ‘도로의 날’로 지정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경부고속도로란 곧 근대화한 도로의 대명사다.

경부고속도로는 부산 금정구 구서동(구서나들목)에서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이르는 길이 416㎞, 너비 22.4m, 왕복 4∼8차선이다. 박정희정권 시절인 1968년 2월1일 착공해 1970년 7월7일 모든 구간이 왕복 4차선 도로로 준공, 개통했다. 1985년 4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중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때 왕복6차선으로 확장됐다. 이후에도 1991년 대전세계박람회를 앞두고 수원~천안간 구간을 왕복8차선으로 확장하는 등 수차례에 걸쳐 오늘날의 모습으로 변모했다.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독일 방문 중 아우토반을 여러 번 방문하면서 구상하고 실행에 옮긴 결과물이다. 착공 당시 ‘단군 이래 최대 역사(役事)’라 불릴 만큼 엄청난 인력과 예산이 투입됐다. 공사에 동원된 인력은 2년5개월간 900만명에 가까웠고 16개 건설사와 3개 군 공병단, 건설장비 165만대가 투입됐다. 총공사비는 1967년 건설 계획 당시 추산예산만 429억원이었다. 당시 1인당 국민소득은 142달러에 불과했던 때로, 429억원은 국가 예산의 24%에 달했다.

도로 건설 사업은 각계의 반대와 불상사로 인한 인명사고에 수난을 겪기도 했다. 착공 당시 정치권과 언론, 학계에선 수도권과 영남권 등 특정 지역에 대한 특혜 논란과 5만대에 불과한 자동차 등록대수를 고려하면 사업성이 없다는 지적 등이 제기됐다. ‘불도저’식 공사 진행 와중에 당재터널(현 옥천터널)의 낙반사고 등이 발생해 전 공사 구간에서 77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들을 기리기 위한 위령탑은 현재도 충북 옥천군 동이면에 세워져 있고, 정부에선 매년 ‘도로의 날’에 위령제를 지낸다.

우여곡절 끝에 개통한 경부고속도로는 개통 당시 동양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였단 점과 함께 우리나라를 1일 생활권으로 바꿔놨다는 데서 의의가 크다. 기차로 12시간, 기존 도로로는 15시간이 걸리던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이동 시간을 4시간30분대로 크게 줄였다. 철도 위주였던 수송 구조가 도로 위주로 바뀌었고, 화물수송이 신속·대량화되면서 수송 능력이 제고돼 물류 대변혁을 낳았단 점도 상기할 만하다.



이제는 경부고속도로보다 속도 빠른 항공, KTX 등 대체교통 수단이 발전했지만, 여전히 경부고속도로엔 많은 이용객이 몰리고 있다. 특히 일부 구간은 상습 정체 구간으로 추가 대책 필요성이 끊이지 않았다.

최근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추진을 공식 천명한 점은 그래서 관심을 끈다. 노형욱 장관은 지난 5일 출입기자간담회에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는 정체가 심한 화성에서 양재까지 30㎞ 구간에 대심도 터널을 뚫어 사실상 고속도로를 넓히는 효과를 거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 장관은 “지상 도로는 계속 도로로 사용하고 지하에 새로 길을 뚫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1㎞당 1000억원, 총 3조원 정도 사업비가 들 것”이라고 했다. 지하 약 40m 깊이 대심도(大深度)에 터널을 뚫는 방식으로 만성 차량정체 구간에 숨통을 트겠단 구상이다.

국토부는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년)’에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노선 사업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건설 시점이나 종점 위치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은 향후 사전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관과 충분히 협의해나가면서 정하겠단 방침이다.

경부고속도로의 ‘리모델링’이 성공적으로 이뤄질지는 지켜봐야 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상습정체로 불만이 지속된 건 맞지만 강남권 집값 상승을 부추길 것이란 우려가 있는데다 공사가 실제 시작되면 3조원 넘는 비용이 들 수도 있어 정부도 쉽사리 결정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