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주적은 산업… 농도측정 드론 등 기술개발 시급”

by김기덕 기자
2018.04.30 14:42:25

국회신성장산업포럼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주제 토론회

더불어민주당 국회신성장산업포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홍영표(오른쪽 둘째) 의원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국회신성장산업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각종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굴뚝으로 배출되는 전 산업 공정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30일 국회신성장산업포럼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문희상, 홍영표, 김진표 등 국회의원 15명과 관련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내 미세먼지 발생 원인 분석 및 저감기술 개발 등을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미세먼지 발생의 주된 원인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다만 국내 산업현장에서도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물질 상당량을 배출해 큰 원인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7월 국내 정부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가 공동 수행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에 따르면 화학반응을 통해 증가하는 2차 미세먼지의 경우 국내 지역 내 오염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에서 고농도 미세먼지를 일으키는 유해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분야는 산업현장으로 전체의 38%를 차지했다. 이어 수송 28%, 생활 19%, 발전 15% 등의 순이다.

현준원 한국법제연구원 글로벌법제연구실장은 “미세먼지는 측청하는 장소와 시간 등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국내와 중국 부문의 영향은 절반씩이라고 보면 된다”며 “국내 부문의 유해물질 기여도를 낮추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률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측정·모니터링에서부터 배출 후 감축할 수 있는 전주기적 산업 미세먼지 저감기술 체계를 구축중이다.

미세먼지 저감 장치는 크게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생성 억제 기술과 배출 저감 기술로 양분된다. 생성억제 기술은 원료를 가공하거나 연료를 사용해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연소공정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먼지 등 다량의 유해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저공해 고효율 연소기의 경우 불완전연소로 인한 유해물질 발생을 줄이기 위해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 연소기 화염반응이 활발한 영역은 억제하고 미진한 부분은 증진시켜 완전연소를 구현한다

배출저감 기술은 연소공정에서 생성된 유해물질이 굴뚝으로 배출되기 전 탈질설비, 집진설비, 탈황설비,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제거 설비를 통해 최대한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금속 구조체 기반 SCR(선택적 환원촉매) 제조기술이 여기에 속한다.

김홍대 생산기술연구원 산업미세먼지저감기술센터장은 “오는 2022년까지 30% 감축목표 달성 여부의 키는 산업 분야가 쥐고 있다”라며 “저공해 고효율 산업용 보일러 및 연소기 및 질소산화물 제거 촉매 기술, 드론형 미세먼지 측정기 등 신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신동근(왼쪽부터), 홍영표, 문희상 의원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미세먼지, 산업을 낳다’ 국회신성장산업포럼에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