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 걷어내니 드러난 민낯…가계소득 줄고, 분배 악화
by이명철 기자
2021.08.19 17:46:53
2분기 가계동향, 시장소득 늘어도 가구소득 4년만 감소
작년 2분기 전국민 지원금 지급 기저효과…양극화 심화
4차 확산 영향 우려, 홍남기 “고용·분배상황 각별 관리”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공지유 기자] 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와중에 정부 재정 지원이 줄자 2분기(4~6월) 전체 가구소득이 4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이전소득 의존도가 높은 1분위(하위20%)의 소득이 크게 줄면서 고소득층과의 소득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또한 소득은 줄었는데 소비지출은 늘어나면서 저축 여력이 낮아지는 등 가계 소득 기반도 흔들리고 있다.
|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신청이 시작된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중부센터를 찾은 소상공인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2분기 가구(1인 이상 가구, 농림어가 포함)당 월평균 소득은 428만7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7% 감소했다. 가구 소득이 감소한 것은 2017년 2분기(-0.5%) 이후 16개 분기 만에 처음이다. 근로소득은 274만3000원, 사업소득은 80만6000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6.5%, 3.6% 증가했지만 이전소득이 61만7000원으로 28.6% 감소하면서 전체 소득을 끌어내렸다.
이전소득은 2017년 2분기(-1.8%) 이후 처음 감소 전환했으며 1인 이상 가구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2분기 14조3000억원 규모의 전(全)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빼고 소비지출·저축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은 345만4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9% 줄어 2019년 1분기(-0.6%) 이후 처음 감소 전환했다. 처분가능소득 감소폭 역시 2006년 이후 가장 크다.
전체 소득은 줄었지만 소비지출은 247만5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8% 증가했다. 근로·사업소득 등 시장소득이 증가하고 2분기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부 완화한 영향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2.0%) 등은 물론 코로나 사태서 감소세이던 오락·문화와 음식·숙박도 각각 4.1%, 3.3% 증가했다.
소비지출이 늘면서 처분가능소득에서 저축이나 부채 상환 등으로 활용 가능한 흑자액은 97만9000원으로 1년 새 13.7% 줄었다. 흑자액이 100만원을 밑돈 것은 2019년 4분기(99만7000원) 이후 처음이다. 그만큼 가계 여유 자금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소득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주요 소득 분배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가구원 수별 처분가능소득)은 5.59배로 1년 전보다 0.56배 포인트 높아졌다.
3분기 코로나19 4차 대유행 영향이 본격화하면 전체 가구 소득 부진은 물론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코로나19 4차 확산에 따라 취약업종 종사자 중심으로 어려움이 확대돼 3분기 이후 고용·분배상황을 각별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