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관용 기자
2022.11.14 16:14:19
캄보디아 프놈펜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
"北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하기로"
파기 직전 지소미아 종료 통보 유예 상황
3국 연합훈련 및 관함식 함정 파견에 이어
협정 정상화로 전례없는 한·일 군사협력 강화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한·미·일 정상이 13일(현지시간) 프놈펜 3자 회담에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불완전했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이하 지소미아)의 정상화뿐만 아니라 한일간 군사협력을 더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3일 캄보디아 프놈펜 3자 회담 결과로 채택한 ‘인도·태평양 한미일 3국 파트너십에 대한 프놈펜 성명’에서 ‘더욱 긴밀한 3국 연대’를 강조했다. 특히 “3국 정상은 억제, 평화 및 안정을 위한 주요한 진전으로서 날아오는 미사일로 야기될 위협에 대한 각국의 탐지·평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자 한다”고 밝혀 구체적인 협력 과제까지 제시했다.
지소미아는 1945년 광복 이후 우리 정부가 일본과 맺은 첫 군사협정이었다. 당초 미국의 ‘압력’에 의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0년 한국에 지소미아 체결을 요청했다. 하지만 우리 측의 무관심으로 논의가 진전되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시절 재추진돼 2012년 당시에는 체결 막판까지 갔다. 관련 안건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는데도 이를 공개하지 않는 등 ‘밀실추진’ 논란에 결국 체결이 무산됐다.
하지만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한 핵·미사일 위협 현실화에 따라 한·미·일 3국 간 관련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2014년 지소미아의 대체 수단으로 한·미·일 정보공유 약정(TISA·이하 티사)이 체결된 이유다. 티사는 1987년 한미 군사비밀보호협정과 2007년 미일 군사비밀보호협정에 명시된 제3자와의 정보공유 관련 조항을 근거로 3국이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미국을 경유해 한·일이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때 다시 논의가 시작돼 2016년 10월 협정 체결 추진 발표 이후 단 27일 만에 협정에 서명했다. 일본이 우리보다 많은 국방비 투자와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감시 및 탐지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정보 교류가 필요하다는 게 당시 국방부 설명이었다.
|